【투데이신문 전유정 기자】한국언론법학회가 공직후보자의 연구 표절 의혹과 사생활 검증보도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한다
한국언론법학회는 오는 17일 ‘공직후보자 검증보도의 쟁점과 나아갈 방향’이라는 세미나 및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날 세미나는 서울교대 윤리교육과 이인재 교수가 ‘표절과 연구윤리’라는 주제로, 한양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이재진 교수가 ‘공인과 사생활’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이인재 교수는 발표문을 통해 “공직자 표절 검증의 가장 큰 문제는 표절 이슈를 정치권에서는 진영논리로, 언론에서는 진지함과 엄밀성을 담보하지 않은 채 선정적으로 접근해 연구윤리에 대한 피로감이나 거부감을 유발하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연구자에게 표절이라는 낙인은 연구 생명을 끊을 수 있는 매우 치명적인 것처럼, 공직자에게도 표절 낙인은 매우 불명예스러운 것이므로 표절을 판단할 때는 고도의 전문성을 가지고 신중하게 접근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향후 공직자 표절 검증 보도가 정확하고 공정하게 이뤄지기 위해서는 언론이 표절에 대한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언론의 공직자 표절 검증보도는 학계나 정부의 표절 판단 가이드라인과 상충돼서는 안된다며 연구윤리 전문가, 저작권법 전문가를 포함한 언론계 내 가칭 ‘공직자 표절 검증 심의위원회’를 구성해 표절 여부를 발표하기 전 최종 심의를 하자고 제안했다.
이재진 교수는 바람직한 검증보도를 위해서는 최대한 사실적 근거를 확인해 제시하고, 비판 당사자 견해를 충분히 반영해야 하며 비판적 정보를 단순히 전달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향후 바람직한 고위공직자의 사생활 검증보도는 언론사별로 고위공직자 검증 기준을 정하고 이를 공개할 것과 의혹 제기 보도는 최대한 사실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토대로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토론회에는 한국기자협회 김동훈 회장, 한국영상기자협회 나준영 회장, 인터넷신문위원회 장세찬 사무처장, 언론중재위원호 양재규 심의실장,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윤성옥 심의위원, 한국언론학회 연구윤리위원회 이민규 위원장, 한국언론법학회 연구윤리위원회 조소영 위원장이 참여하며, SBS 전 보도본부장 출신이자 세명대 저널리즘 대학원 심석태 교수가 사회를 맡아 진행한다.
토론회는 국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온라인ZOOM으로 진행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