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멘트 생산 및 사용 확대 업무협약 체결

포스코건설은 지난 16일 인천시 연수구 포스코건설 송도사옥에서 포스코, 슬래그시멘트 3개사, 레미콘 4개사와 포스멘트의 생산 및 사용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제공=포스코건설]
포스코건설은 지난 16일 인천시 연수구 포스코건설 송도사옥에서 포스코, 슬래그시멘트 3개사, 레미콘 4개사와 포스멘트의 생산 및 사용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제공=포스코건설]

【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포스코건설이 아파트 건설에서 탄소저감 시멘트 사용을 확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친환경 소재를 통해 새로운 선순환 상생 모델을 제시하겠다는 구상이다.

포스코건설은 17일 친환경 시멘트인 포스멘트(PosMent, 포스코 고로슬래그 시멘트) 사용량을 지난해 20만톤(전체 시멘트 사용량의 24%)에서 올해 30만톤 이상으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내년에는 45만톤 이상으로 확대해 전체 시멘트 사용량의 53%를 포스멘트로 대체하겠다는 계획이다.

포스코건설은 지난 16일 인천시 연수구 포스코건설 송도사옥에서 포스코, 슬래그시멘트 3개사, 레미콘 4개사와 포스멘트의 생산 및 사용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각 기업들은 이번 협약에서 슬래그 시멘트 원료의 안정적 공급과 사용을 약속하고 포스멘트 기술개발에 상호협조하기로 했다.

시멘트는 주원료인 석회를 구워 산화칼슘화합물로 만든 것인데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이에 비해 포스멘트는 원료를 굽는 과정이 필요없는 고로슬래그를 58%까지 사용해 자극제 2%를 더하면 일반 시멘트보다 이산화탄소량을 최대 60%나 저감할 수 있다. 고로슬래그는 용광로에서 쇳물을 뽑아낼 때 부원료로 사용된 석회석 등이 여러 반응을 거쳐 추출되는 부산물의 일종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최초 원료 공급자인 포스코는 제철 부산물 시장을 확보하게 됐으며 슬래그 시멘트사와 레미콘사는 저렴한 원료의 안정적인 확보가 가능해졌다. 또, 참여기업들은 원료 채굴과 석회 가공 등 위험한 생산과정이 줄어들면서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을뿐 아니라 ESG경영을 선도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포스코건설은 이번 협약이 각 업계간 상호 시너지를 최대화한 새로운 선순환 상생 모델을 제시했다고 자평했다.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친환경 시멘트가 건설업계 전반에 쓰일 수 있도록 우수한 협력사들과 함께 노력하겠다”라며 “‘2050 탄소중립’ 정책에 동참하고 포스코그룹의 ‘Green Tomorrow, With POSCO' 비전을 실천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