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이사회·주주 설득 과제 남아

서울 강남구 포스코 센터 모습. ⓒ뉴시스
서울 강남구 포스코 센터 모습. ⓒ뉴시스

【투데이신문 박고은 기자】 포스코그룹이 지주사 포스코홀딩스 본사의 서울 설립을 철회한다. 이에 포스코 지주사 본사 서울 설립을 두고 포스코와 포항 지역사회가 벌여왔던 갈등이 일단락될 것으로 예상된다.

28일 정치권 및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내년 3월까지 지주사 소재지를 경북 포항으로 옮기고 미래기술연구원을 수도권과 포항 2곳에 설립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포스코는 향후 이사회와 주주를 설득하고 의견을 수렴, 정관 변경을 통해 주소 변경을 추진하기로 했다.

향후 설립 계획 중인 미래기술연구원은 연구인력 유출 우려와 핵심인재 영입의 현실적인 필요성을 고려해, 포항과 수도권의 이원체제로 효율적인 운영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날 본인 페이스북을 통해 “포스코 지주사 서울 설치 계획 철회와 함께 포스코 지주사 본사와 미래기술연구원 포항 설치, 그리고 지역 상생협력사업 추진을 골자로 한 ‘합의서’를 시민들의 단합된 힘으로 이끌어냈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포스코가 앞으로도 진정성 있는 지역상생협력을 실천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선도함으로써 포항과 함께 성장을 거듭해, 온 국민과 시민들의 사랑과 존경을 받는 세계 초일류 기업으로 우뚝 서기를 바란다”고 했다.

앞서 포스코는 지난달 28일 임시 주주총회에서 지주회사 개편 방안을 의결하면서 지주사 본사를 서울에 설치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에 포스코 본사가 있는 포항 등 경북지역 사회와 정치권은 반대성명을 내는 등 강하게 반발해 왔다. 특히 여야 대선 유력 후보들이 포스코그룹 지주사의 서울 설립에 반대한다고 입장을 밝히는 등 정치적 이슈로 확산됐다.

실제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지난 11일 본인 페이스북을 통해 “지역균형발전에 역행하는 포스코 지주회사의 서울 설립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후보는 “포스코는 경북 유일의 대기업 본사로, 경북의 자부심이자 균형발전의 상징이기도 하다”며 “포스코의 본사 서울 설립 결정은 고 박태준 명예회장의 도전정신, 민족의 기업으로써 역사적 사명에도 맞지 않고 지방이 살아야 국가가 사는 균형발전 시대정신에도 역행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도 지난달 27일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이강덕 포항시장을 만나 “국가기관도 지방으로 가는 마당에 국민기업 포스코가 지주회사를 서울에 설치하는 것은 지방 균형발전에 역행하는 것으로 반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포스코 지주사 서울 설립에 반발한 포항시는 전담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포스코 지주사 전환 사태에 대응했고 지역사회 각계각층이 참여한 ‘포스코지주사 포항이전 범시민대책위원회’가 출범, 서울 이전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처럼 포항시와 지역여론, 정치권, 대선 후보들의 개입에 의해 포스코가 한발 물러선 모양새다.

한편 포스코지주사 포항이전 범시민대책위원회는 포스코홀딩스가 포항에 이전할 때까지 운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