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의심 사이트 예시 [사진제공=한국소비자원]
사기 의심 사이트 예시 [사진제공=한국소비자원]

【투데이신문 김효인 기자】 최근 특정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는 사기 의심 사이트 관련 소비자피해가 증가해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국제거래 소비자 상담 현황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service @lucky-kr.com’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는 사이트 관련 소비자 상담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총 접수 건(56건)의 87.5%(49건)는 2월부터 3월 중 집중됐다.

불만 유형을 살펴보면 △계약취소·환급 거부 및 지연(76.8%·43건) △사업자 연락두절·사이트 폐쇄(14.3%·8건) 등이 많았다. 품목별로는 의류·신발(87.5%·49건)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시계, 침구, 예초기 등이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50대(24.5%) 피해가 가장 많았고, 40대(22.6%), 60대·30대(각각 20.8%) 순으로 집계됐다.

피해자 대부분은 유튜브 광고(72.2%)와 인터넷 배너광고(15.2%)를 클릭해 해당 사이트들에 접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사이트는 해외에 서버를 두고 있지만, 결제 시 개인 통관고유번호 제출을 요구하지 않았다.

아울러 이메일 주소 이외에는 사업자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고, 회사 소개 등에 어색한 번역 투의 문장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설명이다. 

이런 유형의 사기 의심 관련 사이트로는 service@lucky-kr.com 외에도 ‘see-iu.com’, ‘onebestmall.com’, ‘fahinshop.com’, ‘kr-young.com’, ‘yoogomall.com’, ‘seven-st.com’, ‘yoya-shop.com’, ‘yyff-mall.com’, ‘yoo-market.com’ 등이 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SNS 광고를 통해 새롭게 접속한 사이트에서 상품을 구매할 경우 먼저 ‘한국소비자원 국제거래 소비자포털’에 게시된 사기의심 사이트와 대조해 봐야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