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주환 기자】 지구 궤도와 달을 넘어 화성 탐사를 목표로 하는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이 발걸음을 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가 이달부터 시작됐다고 밝혔다.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은 누리호의 후속사업으로 추진되며 오는 2023년부터 2031년까지 9년간 1조9330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계획이다. 

차세대 발사체는 액체산소-케로신 기반 2단형으로 개발된다. 1단 엔진은 100톤급 다단연소사이클 방식 액체엔진 5기가 클러스터링 되며 재점화, 추력조절 등 재사용발사체 기반기술이 적용된다. 

2단 엔진에는 10톤급 다단연소사이클 방식 액체엔진 2기와 함께 다회점화, 추력조절 등의 기술이 활용될 예정이다.

차세대 발사체는 개발 단계부터 우주기업 육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추후 선정될 체계종합기업은 설계부터 최종발사에 이르는 전 과정을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함께 수행한다. 

정부는 산‧연 공동 개발에 참여한 체계종합기업이 사업 종료 이후에도 독자적 발사체 개발 역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국내 우주기술개발 분야 부품기업 육성을 위해 일부 해외도입이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최대한 국내 생산 부품을 활용해 공급망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밖에 추후 차세대 발사체의 개량 및 고도화에 활용될 핵심기술 분야도 선별해 선행 연구개발을 지원할 방침이다.

차세대 발사체 개발이 완료되면 한국은 지구궤도 위성뿐만 아니라 달, 화성 등에 대한 독자적인 우주탐사 능력을 확보하게 될 전망이다. 

과기정통부는 개발된 차세대 발사체를 활용해 오는 2030년 달 착률 검증선을 통해 성능을 확인하고 이듬해인 2031년 달착륙선을 발사해 본격적인 첫 임무에 나설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권현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통해서 우리나라가 본격적인 우주탐사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는데 의의가 있다”라며 “또한 설계단계부터 민간이 참여하는 첫 발사체 개발 사업으로 민간의 개발 역량을 제고하는데 본 사업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