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김현숙 여성가족부(이하 여가부) 장관 후보자가 청문회를 통해 여가부 폐지에 동의한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더불어 폐지와 관련돼 더불어민주당과 첨예하게 대립하는 모습을 보였다.
김 후보자는 지난 11일 국회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여가부 폐지에 동의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다만 김 후보자는 여가부 폐지가 여성정책·여성권익 신장 폐기와 동일한 의미는 절대 아니라는 입장을 내놨다.
앞서 그는 윤석열 대통령의 여가부 폐지 공약에 동의한다는 내용의 서면답변서를 국회에 제출한 바 있다.
이날 김 후보자는 여가부 폐지 사유에 대해 젠더 갈등 해소가 미흡했으며, 권력형 성범죄에 미온적인 대처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여가부는 새로운 환경에 맞게 대전환을 해야 할 시점”이라며 “실질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부처로 탈바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여가부 폐지를 앞두고 장관직을 수락한 배경에 대해서도 말문을 열었다. 그는 “여가부 폐지 원칙은 분명하지만, 각계각층 의견을 수렴해 모두가 합의 가능한 방향으로 가기 위해 합리적이고 촘촘하게 설계해 나가는 것이 앞으로 제 역할이다”고 주장했다.
여성정책에 대해서는 “여성의 정치 참여와 경제활동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미래 발생할 수 있는 권력형 성범죄를 막기 위해 비밀리에 전화할 수 있는 여가부 장관 산하 ‘핫라인’을 만들어 2차 가해를 막겠다”고 공언했다.
차별금지법과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에 대해서는 각각 “사회적 파급 효과가 커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성폭력 피해자 등에 대한 법적 구제방안이 차단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한편 청문회에 참석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여가부 폐지에 동의한 내정자가 장관 후보로 나온 것 자체가 모순이라며 질타했다.
더불어민주당 권인숙 의원은 “여가부의 기능이 불충분한 부분은 강화하면 된다”며 “후보자는 여가부 폐지를 주장하면서 내용은 하나도 메우지 못하는 등 무책임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 ‘여가부 폐지 반대’ 청원 5만명 동의…국회 상임위서 심사 돌입
- “직접 피해 없어도 지원·가족도 보호”…여가부, ‘스토킹 방지법’ 추진
- [존폐 기로에 선 여가부①] 한국여성단체연합 양이현경 “여가부 폐지는 정치적 전략…남아있는 성차별 해결 못 해”
- 저소득층 생리대 지원 만9~24세까지 확대…24.4만명 혜택
- 여성가족부 장관 운명, 지방선거 결과에 달려
-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전년 40%↑…남성 피해자도 2배 증가
- 인권위 “공천 때 특정 성별 60% 넘지 않아야”…여성할당제 권고
- [존폐 기로에 선 여가부③] 정치하는엄마들 박민아 “여가부 폐지되면 ‘돌봄 공백’ 직면…구체적인 로드맵 필수”
- “학교 다니는 것 의미없다”…학교 그만두는 초·중학생 비율 증가세
- 한부모 4명 중 1명, “코로나19로 소득수준 감소 경험”
- [존폐 기로에 선 여가부④] 신 남성연대 배인규 “남녀 갈등 조장·정치 세력화된 여가부, 대한민국 혐오로 물들여”
주요기획: [남녀편견지사],[존폐 기로에 선 여가부], [내 이웃, 이주민]
좌우명: 꿈은 이루어진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