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김현숙 여성가족부(이하 여가부) 장관 후보자가 청문회를 통해 여가부 폐지에 동의한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더불어 폐지와 관련돼 더불어민주당과 첨예하게 대립하는 모습을 보였다. 

김 후보자는 지난 11일 국회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여가부 폐지에 동의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다만 김 후보자는 여가부 폐지가 여성정책·여성권익 신장 폐기와 동일한 의미는 절대 아니라는 입장을 내놨다.

앞서 그는 윤석열 대통령의 여가부 폐지 공약에 동의한다는 내용의 서면답변서를 국회에 제출한 바 있다.

이날 김 후보자는 여가부 폐지 사유에 대해 젠더 갈등 해소가 미흡했으며, 권력형 성범죄에 미온적인 대처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여가부는 새로운 환경에 맞게 대전환을 해야 할 시점”이라며 “실질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부처로 탈바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여가부 폐지를 앞두고 장관직을 수락한 배경에 대해서도 말문을 열었다. 그는 “여가부 폐지 원칙은 분명하지만, 각계각층 의견을 수렴해 모두가 합의 가능한 방향으로 가기 위해 합리적이고 촘촘하게 설계해 나가는 것이 앞으로 제 역할이다”고 주장했다.

여성정책에 대해서는 “여성의 정치 참여와 경제활동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미래 발생할 수 있는 권력형 성범죄를 막기 위해 비밀리에 전화할 수 있는 여가부 장관 산하 ‘핫라인’을 만들어 2차 가해를 막겠다”고 공언했다.

차별금지법과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에 대해서는 각각 “사회적 파급 효과가 커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성폭력 피해자 등에 대한 법적 구제방안이 차단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한편 청문회에 참석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여가부 폐지에 동의한 내정자가 장관 후보로 나온 것 자체가 모순이라며 질타했다. 

더불어민주당 권인숙 의원은 “여가부의 기능이 불충분한 부분은 강화하면 된다”며 “후보자는 여가부 폐지를 주장하면서 내용은 하나도 메우지 못하는 등 무책임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