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정부가 민간기업의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실무 추진기구를 구성하는 등 지원 체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은 기업들이 주도하는 해외투자 사업의 성격도 있어 비용효과적인 사업 추진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서울시 서초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서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실무추진단 첫 회의를 열었다. 앞으로 실무추진단은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관련 정책 자문 및 의견수렴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산업부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경제성 있는 온실가스 국제감축 프로젝트 선점과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따른 국외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을 본격화하고 있다. 산업부는 앞서 지난 2월엔 산업·에너지 부문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협의체를 발족한 바 있다.
산업부는 실무추진단을 통해 파리 기후변화협정 제6.2조에 따른 산업·에너지 부문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을 기업이 주도해 비용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지원체계 구축에 나설 예정이다. 산업부는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과 관련해 양국간 국제감축 이행체계, 투자 및 구매 지원방식, 국가별 구체적 협력방안 등에 대한 3건의 정책 연구에도 착수했다.
파리 협정 제6.2조에 따른 양자 협력사업에서는 국가 간 온실가스 감축실적 상응조정과 사업관리감독 방법 등에 대한 양자 협정이 필수적이다. 산업부는 이번 정책 연구를 통해 양자 협정 부속 표준문안을 도출하고 세부 운영체계 표준안을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또, 탄소중립기본법 제24조에 따른 구체적인 투자·구매 등 지원 기준과 절차를 만들고 국제감축사업 종합지원 플랫폼을 열어 국제감축사업 정보를 기업들에게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산업부 정종영 투자정책관은 “2030 NDC에서 국제감축사업의 규모와 비중이 산업 및 수송 부문에 버금갈 정도로 막대하다. 철저한 준비를 통해 비용효과적으로 수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투자정책관은 “에너지와 산업 부문을 담당하는 산업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면서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은 기업이 주도하는 해외투자 사업이므로 상업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기자재 수출 및 일자리 창출과도 연계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2030 NDC의 총 감축목표는 2억9100만톤CO2eq(이산화탄소 환산량)이다. 이 중에서 3350만톤CO2eq을 국외감축 목표로 명시하고 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청년정책], [탈서울 인지방], [2023 전국동시조합장선거], [좋은주택 만들기], [건설산업 선진화], [농민권리를 외치다]
좌우명: 지난이진(知难而进)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