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양정숙 의원실]
   [사진제공=양정숙 의원실]

【투데이신문 박중선 기자】 최근 6년 간 금융사 횡령액이 6배 이상 급증했음에도 임원들은 고액의 성과급 잔치를 벌인 것으로 드러났다. 

30일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금융기관 78곳에서 327회 걸쳐 1704억원 규모의 횡령사고가 발생했다. 또한 횡령사건이 발생한 매 해당 년도 8개 금융사 경영진과 임원은 고액 연봉과 성과급을 챙겼으며 그 액수는 총 642억원에 달했다.

금융권 횡령사고로 인한 피해규모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2017년 144억원에서 2018년 112억원으로 잠시 주춤했지만, 2019년에는 131억원, 2020년 177억원, 2021년 261억원, 올해 8월까지 876억원으로 2017년 대비 6배 이상 급증했다.

횡령규모가 가장 큰 금융권은 은행으로 894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어 상호금융 256억원, 자산운용 167억원, 저축은행 149억원 순이었다.

개별금융사별 횡령 규모는 우리은행이 716억원으로 가장 큰 규모였다. 이어 단위농협 153억원, 하나은행 69억원 순으로 높았다.

그럼에도 지난 6년 간 3회 이상 횡령사고가 발생한 은행, 보험, 상호금융 11개사의 등기임원은 642억원의 성과급 잔치를 벌인 것으로 드러났다. 2017년에는 68회에 걸쳐 144억원의 횡령이 발생했는데도 사건이 발생한 은행, 보험, 상호금융 11개사 등기임원은 연봉과 상여금으로 91억원을 받아갔다. 특히 261억원의 피해가 발생한 2021년에도 168억원을 챙겼다.

횡령사고 건수별로 살펴보면 상호금융사가 지난 6년간 총 136건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이어 은행 94건, 보험사 67건, 증권 15건 등이었다.

개별 금융사로는 하나은행과 단위농협, 신협이 2017년부터 올해까지 한해도 거르지 않고 6년 연속 횡령사고가 발생하면서 각각 17회, 59회, 58회 발생해 가장 사고가 빈번한 금융사로 이름을 올렸다.

신한은행과 기업은행, 농협은행과 수협은 5년에 걸쳐 횡령 사고가 발생했고, 우리은행도 지난 2019년부터 올해까지 4년 연속 발생했다. 보험사 중에서는 유일하게 삼성생명에서 4년간 횡령 사고가 일어났다. 국민은행과 KB손해보험도 3회 이상 발생했다.

양 의원은 “동일한 금융사에서 횡령사건이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은 재발 방지대책이 제대로 마련되지 못한 방증”이라며 “국민에게 신뢰를 잃고도 횡령사고의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경영진과 임원들이 사고 발생 당해 연도까지 고액연봉과 상여금까지 챙긴 것은 금융계의 고질적 모럴헤저드(도덕적 해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