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송선태 위원장이 지난 7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와 병무청에 대한 국정감사에 참석해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송선태 위원장이 지난 7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석해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조사위)를 대상으로 한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가 진행된 가운데, 행방불명자의 DNA 감식 결과가 공식 보고 전 외부에 유출된 것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국회 국방위원회는 지난 7일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와 병무청에 대한 국정감사가 진행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송갑석 의원(광주 서구갑)은 “행불자 DNA 감식 결과는 민감한 사안이다”며 “앞서 발생한 유출과 경우는 결코 재발해선 안 되며, 강도높은 내부 감찰을 벌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조사위는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자 합장묘에서 지난 2019년 발굴된 유골 262기 중 5·18 행방불명자 유골이 포함된 것으로 잠정 확인한 바 있다. 현재에는 다른 방식으로 DNA 분석과 재조사를 진행 중이다.

송 의원은 조사위는 DNA 감식 종류를 SNP(단일 염기 다형성, 4촌 이내 방계) 방식과 STR(짧은 반복 서열, 직계) 방식을 같이 사용하는데 STR 방식검사 결과가 나오지 않았음에도 행불자로 확인됐다는 보도가 쏟아졌다고 꼬집었다.

또한 송 의원은 “심지어 STR 검사는 직계 가족들과의 관계를 입증할 수 없다는 내용의 보도까지 나왔다”며 “그럼에도 조사위는 ‘STR 조사를 진행한 두 용역기관들로부터 공식 보고를 받은 바 없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간 5·18에 대한 폄훼와 왜곡 사례가 많았던 상황에서 이런 혼선을 조사위가 주고 있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문제”라며 “언론에 흘러나간 경위를 또한 강도 높게 감찰할 필요성이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의당 배진교 의원도 “교차검증을 하는 중요한 상황에서 언론에 신원 확인 보도가 나오니 검증 과정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는 것이다”며 “이런 문제일수록 위원회의 신중하고 적절한 대응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송선태 위원장은 “이번 일을 계기로 정보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느꼈으며, ‘번복된 진실은 설득이 어렵다’는 사실을 절감한다”며 “차후에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주의하겠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