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승리 수도권 정면승부 해야”
주호영, “지역구 이동은 자해행위”
유승민, ‘중대선거구제’ 제안 환영
尹, “소선거구제 갈등 깊어 문제”

유승민 전 의원이 지난 9월 29일 오전 대구 북구 경북대학교에서 ‘무능한 정치를 바꾸려면’을 주제로 특강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유승민 전 의원이 지난 9월 29일 오전 대구 북구 경북대학교에서 ‘무능한 정치를 바꾸려면’을 주제로 특강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윤철순 기자】 국민의힘 당권 도전에 나선 안철수·윤상현 의원이 당권주자들의 ‘수도권 출마 공동선언’에 한 목소리를 냈다. 최근 당대표 지지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유승민 전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의 중대선거구제 제안에 환영 입장을 밝혔다.

안철수 의원은 2일 윤상현 의원의 ‘당대표 후보 수도권 출마 공동선언’ 제안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총선에서 수도권 70석 이상, 총 170석 이상 하려면 수도권 지도부로 정면승부해야 한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사실상 전원 수도권이고, 우리는 수도권 121석 중 겨우 17석”이라며 “지난번 총선거 패배는 수도권 패배였다”고 적었다. 안 의원과 윤 의원은 17석에 속하는 수도권 의원이다.

안 의원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보듯 후방에서 명령이나 하는 지휘부가 아니라 최전선에서 전쟁을 이끄는 지도자가 있는 나라가 승리한다”며 “윤 의원의 수도권 출마 선언 제안에 크게 공감한다”고 했다.

이에 윤 의원은 “안철수 의원이 제가 제안한 당 대표 후보 수도권 출마에 대해 크게 공감한다고 했다”며 “수도권이 총선 승패를 가를 전략적 승부처라는 인식도 저와 완전히 같다”고 페이스북에 응답했다.

윤 의원은 “주호영 원내대표,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 두 분도 수도권이 전략적 승부처라는 것을 이미 인정했다”며 “누가 대통령의 핵심관계자냐는 말 뿐인 논쟁을 멈추자”고 했다.

그러면서 “수도권 대첩을 이끌 당 지도부에 출마하려는 분들은 제가 제안한 합의문 작성에 같이 하자”며 “수도권 출마 공동선언문에 직접 합의하는 행동을 보여줌으로써 누가 정말 윤석열 정부의 성공에 앞장서는 인물인지 함께 검증해보자”고 주장했다.

앞서 윤 의원은 지난해 12월28일 김기현 의원을 겨냥해 “서울 출마를 선언하라. 적어도 당대표 후보라면 언제라도 총선에서 수도권에 출마할 배짱이 있어야 한다”고 했고, 이틀 후엔 “당대표 선거에 나오는 모든 후보들에게 수도권에서 출마하겠다는 공동선언문을 발표할 것을 제안한다”고 제의했다.

이와 관련,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BBS 라디오에 출연해 “의원들이 함부로 지역구를 옮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지난 선거 때 지역구를 많이 옮기는 바람에 오히려 자해 행위를 했다는 평가가 있었다”고 일축했다.

한편, ‘당심 100%’로 전당대회 룰이 개정된 이후 각종 여론조사에서 당대표 지지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유승민 전 의원은 이날 윤석열 대통령과 김진표 국회의장이 제안한 중대선거구제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유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통령과 국회의장의 제안을 환영하며, 여와 야가 기득권을 버리고 선거제도 개혁에 나서주길 바란다”며 “이를 계기로 우리 국회가 선거제도 개편에 나서기를 기대한다”고 적었다.

유 전 의원은 “우리 정치의 고질적 병폐는 정치가 양 극단으로 치닫고 적대적 대결에 매몰되어 시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국민들께 희망을 드리지 못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승자독식의 소선거구제를 중대선거구제로 바꾸면, 우리 정치가 더 다양한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지역과 이념의 대립구도를 넘어 보수도 호남에서 진보도 영남에서 국민을 대변하고, ‘진영을 넘어 미래를 위한 합의의 정치’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조선일보 신년인터뷰에서 선거구제 개편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선거제는 다양한 국민의 이해를 잘 대변할 수 있는 시스템이 돼야 하는데 소선거구제는 전부 아니면 전무로 가다 보니 선거가 너무 치열해지고 진영이 양극화되고 갈등이 깊어졌다”며 “지역 특성에 따라 2명, 3명, 4명을 선출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의장도 이 같은 방향에 공감하며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에 내달 초순까지 복수의 안을 만들어 달라고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