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바꿔치기로 안전 인상 심겠다는 것”
박성준, “日 요청이냐, 尹대통령 선의냐”
“일본 이익에 복무…국민 안전은 도외시”
한일, 12일 서울서 시찰단 관련 회의개최

카와시마 슈이치 후쿠시마 어민이 지난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방사능 오염수 무단투기 저지를 위한 한-일간 연대방안 모색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카와시마 슈이치 후쿠시마 어민이 지난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방사능 오염수 무단투기 저지를 위한 한-일간 연대방안 모색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윤철순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11일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용어를 ‘처리수’로 변경하는 방안 검토에 착수했다는 보도에 대해 “이름 바꿔치기로 국민에게 일본의 원전 오염수가 안전하다는 인상을 심겠다는 것이냐”며 강력 반발했다.

민주당 박성준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라는 공식 용어를 처리수로 바꾸는 방안에 대해 검토, 착수했다고 한다”며 “용어 변경이 일본 요청이냐, 윤석열 대통령의 일본에 대한 선의냐”고 따져 물었다.

박 대변인은 “국민의힘 우리바다지키기 검증TF 위원장인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이 일본 오염수에 대해 ‘오염처리수라고 쓰는 게 맞다’고 주장하고 나섰다”면서 “대체 누구를 위해 방사능 오염수를 오염처리수라고 바꿔 부르자는 것이냐”고 거듭해 물었다.

이어 “방사능 오염수 가운데 오염수 처리가 완료된 건 30%에도 미치지 못하고, 처리가 완료된 오염수도 안전한지 여부를 과학적으로 검증해야 하는 상황인데 왜 바꿔 불러야 하냐”며 “정부가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를 지원하고 나서려는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이것이 윤 대통령이 말하는 미래지향적 협력이냐”고 비판했다.

또 “대체 어느 나라 이익을 위해 일하는 정부인지 알 수가 없다. 일본 이익에 복무하고 우리 국민 안전은 도외시하는 정부의 행태에 동의할 수 없다”며 “후쿠시마 오염수를 처리수로 바꾸는 것은 일본의 이익에 부합하는 결정이다. 우리 국민은 불안해하는데 일본 정부만 환영하면 그만이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과학적 검증이 이뤄지기 전에 용어 변경은 불가하다”며 “민주당은 윤석열 정부의 일방 독주와 일본 편향이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도록 두고 보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그동안 화상회의 등을 통해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논의를 이어온 한일 양국 정부는 지난 7일 한일 정상회담에서의 합의 이행을 위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관련 국장급 회의를 오는 12일 서울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한국 측은 외교부 윤현수 기후환경과학외교국장, 일본 측은 외무성 카이후 아츠시(海部 篤) 군축불확산과학부장을 수석대표로 양측 관계부처가 참석할 계획이다.

협의에선 이달 23~24일 현장 시찰에 나설 한국 시찰단의 일정과 둘러볼 시설 등을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후쿠시마 오염수 대응 TF를 주재하고 있는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은 전날 “이번에 시찰단이 가서 국제기구의 검증에 더해 중층적으로 확인해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은 것”이라며 시찰이 보여주기식이 아닐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니시무라 야스토시 일본 경제산업상은 한국 시찰단 활동에 대해 “어디까지나 한국 측의 이해를 깊게 하기 위한 대응”이라며 “안전성에 대해 평가나 확인을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