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백의종군...선거법만 지켜달라”
홍 “미래학 연구자로 돌아가겠다”

더불어민주당 홍성국(왼쪽), 이탄희 의원이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각각 제22대 총선 불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더불어민주당 홍성국(왼쪽), 이탄희 의원이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각각 제22대 총선 불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윤철순 기자】 더불어민주당 현역 의원 총선 불출마 선언이 잇따르는 가운데, 13일엔 이탄희·홍성국 등 두 명의 초선 의원이 내년 총선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탄희 의원(경기 용인정)은 이날 “22대 총선에 남아 있는 출마 기회를 다 내려놓고 백의종군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의원은 입장문을 통해 “저는 오늘, 제게 남아 있는 모든 것을 내놓고 마지막으로 한 번 더 호소한다”며 “제가 가진 것도, 가질 가능성이 있는 것도 다 내놓겠다. 선거법만 지켜달라”고 말했다.

이어 “한번 퇴행하면 다시 돌이킬 수 없다”며 “양당이 선거법을 재개정할 리가 없다. 한 정당이 개정하려고 해도 상대 정당이 반대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회와 거대 양당은 선거제 퇴행 논의, 양당 카르텔법 도입 논의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이 의원은 당 지도부에 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와 위성정당 금지법 당론 채택을 요구하며 험지 출마를 선언했지만, 당내 선거제 개편 논의가 지지부진하자 불출마를 결심했다.

홍성국 의원(세종시 갑)도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랜 고민 끝에 다가오는 제22대 총선에 불출마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홍 의원은 “지난 4년 간 국회의원으로서 나름 새로운 시각으로 우리 사회를 바꿔보려 노력했다”며 “대전환을 경고하고 대안을 만드는 것이 제가 정치를 하는 목적이자 소임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지금의 후진적 정치 구조가 가지고 있는 한계로 인해 성과를 내지 못했다”며 “때로는 객관적인 주장마저도 당리당략을 이유로 폄하 받기도 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이런 한계에 대해 오랜 시간 고민한 저는 국회의원보다는 국민과 직접 소통하고 우리나라의 미래 비전을 만드는 ‘미래학 연구자’로 다시 돌아가려고 한다”고 했다.

이로써 민주당 내 총선 불출마 현역 의원은 6명이 됐다. 앞서 우상호·오영환·박병석·강민정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