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유승민은 특검 찬성
나경원·윤상현·한동훈 반대
【투데이신문 윤철순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한 채상병 특검법이 오는 28일 국회에서 재표결에 부쳐질 예정인 가운데, 국민의힘 당권 주자로 꼽히는 인사들의 특검 찬반 입장이 갈리고 있다.
안철수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은 야권이 추진하는 채상병 특검법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도 특검을 피할 수 없다는 입장인 반면, 나경원 당선자와 윤상현 의원은 ‘공수처(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 부족 시 특검 추진’을 밝혔다.
‘선 공수처 수사’ 의견은 ‘봐주기나 부실수사가 있으면 특검을 하는 것’이란 윤 대통령의 입장과 같은 것이다. 안철수 의원은 28일 재표결에서 찬성표를 던지겠다고 공언해왔다.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4·10총선 참패 이후 채 상병 특검에 대한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지만, 비대위원장이던 지난 3월 ‘수사가 잘못되거나 부족한 점이 드러났을 때 하는 것’이란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안 의원과 유 전 의원은 특검 찬성에 강한 소신을 보이고 있다. 안 의원은 총선 참패 이후 채상병 특검법을 찬성하는 발언을 꾸준히 내놓고 있다. 다만 야권이 앞서 채 상병 특검법을 일방 처리할 땐 당론에 따라 표결에 불참했다.
안 의원은 지난 21일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채상병 특검 찬성 입장에 변화가 없다”며 “보수의 가치를 최고로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상징을 위해서 특검을 과감하게 수용하겠다고 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유 전 의원은 대통령과 배우자 관련 문제는 거부권을 행사해선 안 된다는 입장이다. 지난 9일 연세대 강연 직후 그는 “채 상병 수사 외압 의혹은 박정훈 대령에 대한 공소를 취소하고, 외압 의혹 부분은 수사를 받아 임기에 계실 때 빨리 터는 게 좋다. 자꾸 미루면 문제가 커진다”고 촉구했다.
반면, 나 당선자는 지난 22일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공수처에 야당이 고발해놓고 수사가 끝나기도 전에 특검을 하겠다는 건 정치공세가 지나친 것”이라며 “민주당이 특검을 전가의 보도처럼 이용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22대 국회서 특검법이 (재)발의되면 반대하겠냐’는 질문에도 “공수처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 시기에 올라온다면 우리로선 찬성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윤 의원은 같은 날 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해 “공수처와 경찰이 왕성하게 수사 중인 사건인데, 수사를 중단하고 특검으로 가라고 할 수 없는 일 아닌가”라며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동의했다.
한 전 위원장은 채 상병 특검법이 야당 주도로 가결되고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이후엔 아직까지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때문에 한 전 위원장이 여론 추이에 따라 다른 입장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 ‘채상병 특검법’ 재투표...與 ‘집안 단속’ vs 野 ‘이탈표 유도’
- 尹 “총선 참패 ‘내 잘못’...일하는 당정 만들자”
- 尹 ‘채상병 특검법’ 거부권 행사...野, 28일 본회의서 재의결 추진
- 황우여, 허은아 만나 “이념적으로 같은 입장”...정치·정책 연대 강조
- 민주, 충남 예산서 22~23일 당선자 워크숍 개최...‘당원권 강화’ 현안 논의
- 조국, ‘3+3 국조·특검’ 제안...“특검·국조 거부하는 자들이 범인”
- 與, ‘채 상병 특검 정쟁화’ 비판...“여야 합의 없이 일방 추진”
- 범야권 7개 제 정당, 용산 집결...尹 향해 ‘채 상병 특검’ 수용 압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