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법 따르겠단 미몽서 깨어나야”
“총선 민심 거부에 독선·불통 강화”
“민심 외면 전에 돌아와 역할해야”
【투데이신문 윤철순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17일 원 구성 백지화를 주장하며 국회 일정을 전면 거부하고 있는 국민의힘을 향해 “헌법도 국회법도 무시하면서 오로지 용산법만 따르겠다는 미몽에서 깨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명색이 집권여당인데 총선 민심 거부도 모자라서 독선과 불통을 더 강화하고 있다”며 이렇게 밝혔다.
이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정부 부처에 국회 업무보고를 거부하란 지침을 내려 보냈다는 얘기가 있다”며 “집권여당이 국민 손으로 뽑은 국회를 부정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여당 의원총회에 기재부 차관이 참석하고, 급조한 국힘의 자체 특위엔 7개 부처 차관이 줄줄이 배석했다. 학교도 안 가는 학생이 따로 선생님 불러서 자기 집에서 공부하자고 우기는 격”이라며 “어처구니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총선이 끝난 지 두 달이 넘었고 민생현안은 산적해 있다”며 “민심으로부터 버림받기 전에 국회의 자리로 돌아와서 책임과 역할을 다 하기 바란다. 관행 주장하지 말고 법과 상식을 따르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한편, 이 대표는 당원권 확대와 관련해 “당원들 역할을 당원들 역할을 확대하는 것, 직접 민주주의 요소를 강화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자 대세”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진행된 당헌 개정 의결 당 중앙위원회에서 이 같이 밝히며 “이 나라의 정치를 책임지고 있는 한 축으로서 민주당의 주인 역시 당원”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이번 총선 승리의 힘의 원천은 바로 당원과 지지자 여러분들의 열정과 헌신이었다”며 “공동체 구성원들이 주체적으로 나서서 능동적으로 행동하고 책임지고 헌신하는 과정들이야말로 그 공동체 발전의 원동력”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당헌 개정에 관한 입장들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것을 느낀다”면서도 “어려운 환경에서 우리에게 주어진 역할과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있는 힘을 다 모아야 한다. 그 힘을 모으는 과정이라는 생각을 해주시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이날 중앙위는 당 대표나 최고위원이 대선에 출마하려면 대선 1년 전까지 사퇴해야 한다는 규정에 예외 조항을 두고, 부정부패 혐의로 기소된 당직자의 직무를 자동으로 정지하는 규정을 삭제하는 내용의 당헌 개정안을 최종 의결한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 12일 당무위원회에서 국회의장 후보와 원내대표 선출에 권리당원 투표 20%를 반영하는 내용 등을 담은 당규 개정안을 확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