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환 금융윈원장 후보자가 5일 오전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사진출처=뉴시스]
김병환 금융윈원장 후보자가 5일 오전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사진출처=뉴시스]

【투데이신문 박중선 기자】 금융위원장 후보로 지명된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이 금융투자소득세(이하 금투세) ‘폐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5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이날 김 후보자는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획재정부 1차관으로 있으면서 세제를 담당했지만, 기본적으로 자본시장 활성화와 기업·국민이 함께 상생하는 측면을 봤을 때 금투세 도입은 자본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면서 금투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또한 김 후보자는 금융 리스크의 주요 원인을 과도한 부채 의존성으로 지목했다.

김 후보자는 “현재 부채 총 레버리지 비율이 외국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이러한 상황에서 외부의 충격이 왔을 때 금융시스템에 전이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 성장에도 제약 요인”이라고 짚고, 부채에 의존하는 부분을 다른 방식으로 대체해 시장과 경제에 큰 충격 없이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을 우선 과제로 꼽았다.

기업 밸류업과 관련해서는 “자본시장 활성화가 기업들이 원활이 자금을 조달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금융구조에서 부채보다는 다른 자금조달 방식을 통해 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찾아 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임 금융위원장으로 지명된 김 후보는 행정고시 37회로 1993년 공직에 입문, 기재부 자금시장 과장과 경제분석과장, 종합정책과장, 경제정책국장을 지냈고 현 정부 초대 대통령실 경제금융비서관 등을 역임했다. 이러한 이력으로 업계에서는 현재 한국 경제가 안고있는 부채리스크와 시장 불확실성을 이끌 수 있는 적임자로 평가하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