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입학 정원도 재논의 대상 될 듯
【투데이신문 임혜현 기자】 의정 갈등으로 인한 의료 공백 장기화를 놓고, 정치권과 의료계, 정부가 원점에서 문제를 검토할 물꼬가 트일 전망이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6일 “의료 공백 상황에 대한 국민 불안을 해소하고, 지역·필수의료 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를 구성·운영하자”고 야당과 의료계에 제안했고 대통령실이 이에 긍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2026년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 등 민감한 부분도 모두 논의 대상에 오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 대표는 이날 현안 브리핑을 통해 “의대 정원 증원 문제로 장기간 의료 공백 상황이 발생하면서 국민 불편이 가중되고, 응급 의료 체계에 대한 국민 불안이 크다”면서 “여·야·의·정이 함께 머리를 맞대 의료 현장의 진료 서비스를 정상화하면서 의료개혁이 국민에게 도움이 되도록,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협의하고 의대 증원에 합리적 대안을 모색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그 과정에서 국민들과 의료 현장의 의견도 충분히 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 역시 같은 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지금이라도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을 포함해 의료 개혁 문제에 대해 얼마든지 열린 마음으로 원점에서 논의할 수 있다는 것이 정부와 당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한편 ‘뉴시스’에 따르면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도 “한 대표 제안에 대해 긍정적이다”라고 말했다. 이 고위관계자는 “의료계가 대화의 테이블에 나오는 것이 우선”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임혜현 기자
todaynews@ntoday.co.kr
담당분야: 경제산업
주요기획: [‘지급거절·모르는 척’ 1등 삼성생명, 오너 지배구조 유지 쓰였나], [소비자 부담·규제패싱 들러리? 현대카드 애플페이, 외화내빈 우려]
좌우명: 더 나은 세상을 향한 오늘의 기록 다른기사 보기
주요기획: [‘지급거절·모르는 척’ 1등 삼성생명, 오너 지배구조 유지 쓰였나], [소비자 부담·규제패싱 들러리? 현대카드 애플페이, 외화내빈 우려]
좌우명: 더 나은 세상을 향한 오늘의 기록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