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과 무역합의에도 10% 관세 유지

백악관 웨스트윙 앞에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들과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
백악관 웨스트윙 앞에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들과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

【투데이신문 최주원 기자】 미국 정부가 10% 관세는 협상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자국 산업 보호와 ‘미국 우선주의’ 기조를 재확인했다.

9일(현지 시간)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 합의가 이뤄지더라도 최소 10%의 기본 관세는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기본적으로 최소 10%의 기준선을 가질 것이고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40%, 50%, 60%로 더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관세를 무역 전략으로 활용하는 전반적인 정책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이날 백악관 정례 브리핑에서 나온 설명과 같은 맥락이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영국뿐 아니라 모든 국가와의 무역 협상에서 10% 기본관세를 고수하려 한다”며 “무역 합의 이후에도 이 관세는 계속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미국은 전날 영국과의 양자 무역 합의에서 10% 기본관세 조항을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해 영국이 미국과의 무역에서 적자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측은 일관되게 자국 보호 조치를 유지했다.

이 같은 방침으로 상호 관세 철폐를 목표로 협상 중인 나라들은 자국의 양보 없이는 미국 측의 10% 관세 장벽을 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국 역시 현재 총 25%의 상호관세를 두고 협상을 벌이고 있는 입장에서 협상 전략의 재조정이 요구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0일 스위스에서 열리는 미중 무역협상과 관련한 질문에 대해 “미국 국민을 위한 위대한 거래를 만들어야 한다”고 답하면서 향후 미국의 무역 정책이 더욱 강경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음을 시사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