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뉴시스

【투데이신문 김효인 기자】 전국택배노조가 오는 21일부터 택배분류작업 전면 중단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택배 물량이 급증하는 추석 배송에 차질이 생기지는 않을지 우려하는 시선이 나오고 있다.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는 17일 오전 서울 정동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과로사 위험을 막기 위해 전국 4000여 명의 택배기사들이 오는 21일 택배 분류작업 거부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날 대책위는 “분류작업은 택배노동자들이 새벽같이 출근하고, 밤늦게까지 배송을 해야만 하는 장시간 노동의 핵심적인 이유다”라며 “택배 노동자들이 하루 13∼16시간 걸리는 노동의 절반을 분류작업에 매달리면서도 단 한 푼의 임금도 받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이은 과로사에다 추석연휴를 앞두고 하루하루 늘어가는 택배물량을 보면서 오늘도 무사하기만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며 “분류작업에 추가 인력을 투입하는 것이 택배노동자 과로사를 줄일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분류작업 전면거부는 죽지 않고 살기 위한 택배노동자들의 마지막 호소”라며 “전국 4000여명 택배노동자들은 21일부터 죽지 않고 일하기 위해 분류작업을 거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대책위가 최근 택배노동자 8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들의 평균 노동시간은 71.3시간으로 나타났다. 이는 법정근로시간인 52시간 뿐 아니라 과로로 인한 질병 발생 시 산업재해로 인정되는 노동시간인 60시간도 훌쩍 넘긴 수치다. 올 한해 과로 등으로 사망한 택배 노동자는 총 7명이다. 대책위는 “국민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안타깝지만 배송이 늦어지더라도 더 이상 과로로 쓰러지는 택배노동자는 없어야 한다는 택배노동자의 심정을 헤아려달라”며 “택배사도 택배노동자를 기만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분류작업 인력투입 등 실질적 방안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대책위는 택배산업 주무부서인 국토부를 비롯해 대통령도 분류작업 문제를 지적하고 있지만 택배사들은 묵묵부답이라고 지적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0일 ‘택배근로자 보호조치’를 발표하며 택배업계에 이번 추석 특별수송기간 동안 ▲분류작업 인력 한시적 충원 ▲휴게시설 확충 ▲지연배송 사유로 택배기사에게 불이익 금지 등을 권고한바 있다.

한편 택배사측은 이번 택배기사들의 분류작업 중단 예고에 대해 각 업체들의 상황이 모두 다른 만큼 현재 업계 차원에서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참여인원이 많지 않아 배송 대란까지 이어지진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 택배사 관계자는 “각 업체마다 자동화시설 구비 등 상황이 모두 다르기에 한국통합물류협회를 통해 의견을 조율 중이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택배사에서는 통상 특수기에 대비해 아르바이트생 및 분류 인력을 충원한다”며 “전체 택배기사 수 5만여명 중 이번 분류작업 거부를 선언한 기사들을 10% 안팎으로 본다면 추석 배송 대란까지는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