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국감] 박완주 의원 “후속 피해와 여죄 추적위해 보이스피싱에 활용된 번호 전수 등록해야”
【투데이신문 강서희 기자】 경찰의 보이스피싱 추적시스템에 미등록된 건수는 3년간 6만건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사진·천안을·3선)이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보이스 피싱(전화금융사기) 추적시스템에 등록된 현황은 2018년 3만4132건 발생했으며 3385건이 입력됐다. 2019년에는 3만7667건 발생, 5659건 입력, 2020년 8월까지 2만1014건 발생, 1만5619건 입력했다. 2018년 이후 총 9만2813건 발생, 2만4663건 입력해 미등록건수만 6만8150건으로 드러났다.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추적시스템은 지난 2015년 7월 31일 도입된 시스템으로 동일 범죄자가 불특정 다수인을 대상으로 전화를 걸어 범행을 저지르는 특성을 가진 보이스 피싱 범죄를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보이스피싱 범죄는 수사를 위한 피해자 확보와 피해사실의 파악이 어려움이 있으며, 다수의 수사관서에서 중복수사를 하게되는 등 수사 비효율이 발생할 수도 있다. 중복수사를 방지하고 동일한 범죄에 대한 여죄 추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사사법정보시스템 내에 구축됐다.
2018년에는 전체 입력률이 10%에 그쳤다. 2019년도에는 15%였지만 이후 감사원 감사등 개선노력을 통해 올해 입력률이 대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100%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전남청은 8월말 현재 126%의 입력률을 기록하고 있어, 피해자 신고이외에도 경찰관이 인지해 수사한 건에 대해서도 입력하고 있어 제도를 잘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박완주 의원은 “최근 보이스 피싱은 해외에 거주하며 국제전화를 통해 범행을 하고 실제 범죄 총책을 체포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추적시스템을 등록하여 분석과 추적을 함께 병행해야 할 것”이라며 “일선 수사관들은 보이스피싱 추적시스템에 범죄 정보를 빠짐없이 입력해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한 DB를 구축하여 범죄자 추적과 범죄 근절에 노력해야한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관련기사
- 보이스피싱 피해, 50대 가장 취약…대출빙자형 사기 최다
- “보이스피싱으로 교보생명서 ‘약관대출’ 이뤄져”…인증허술 vs 정상절차
- 보이스피싱 당해도 ‘고의·중과실‘ 없으면 금융사 책임
- 보이스피싱 현금 수거책 외국인 체포…공범들 ‘출국금지’ 조치
- 보이스피싱으로 7000만원 챙긴 외국인 2명 ‘징역 3년’
- 보이스피싱 피해자 돈 훔쳐 달아난 미등록 이주민 구속
- NH농협카드, 농업인 6300만원 보이스피싱 피해 막아
- 정부, ‘재난지원금 지급·대출 상담’ 사칭 보이스피싱 방지대책 강화
- “계좌 신고됐다” 금감원 사칭 보이스피싱 문자 급증…‘소비자 경보’ 발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