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전소영 기자】 서울시가 ‘광화문광장 세월호 기억공간’ (이하 세월호 기억공간) 철거를 예고한 가운데 유가족이 일방적 통보라며 적극 반대하고 나섰다.
9일 4.16연대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 5일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에 세월호 기억공간 관련 협의를 요청하는 자리에서 오는 21일부터 25일까지 세월호 기억공간 내부 사진 및 물품을 철수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26일에는 세월호 기억공간을 철거하겠다는 통보도 덧붙였다.
서울시는 지난해 7월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를 위해 단계별 공사진행 계획으로 세월호 기억공간 이전에 관한 논의를 요청한 바 있다. 이에 따라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4.16연대, 4.16재단은 TF를 꾸려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이전 가능하며, 완료 후에는 광화문광장에 존치돼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한 바 있다.
이후 서울시와 TF는 7차례 면담을 거쳤다. TF는 이 과정에서 전 서울시장의 광화문광장에 대한 철학과 더불어 세월호 가족 및 시민들에게 약속한 내용이었던 세월호 기억공간은 시민들의 것임을 밝히고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내왔다.
세월호참사 7주기 이후 세월호 기억공간 유지 방안에 대해 추후 협의를 거치기로 했으나, 서울시는 별도의 대안을 마련하지 않고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공사 이후에는 존치 불가하며 공사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철거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이에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는 다시금 광화문광장의 의미와 세월호 기억공간이 가족과 시민의 것임을 강조하며 공사에 영향을 미칠 경우 임시로 옮기고 조성을 마친 후에 존치해달라는 입장을 재차 전했다.
또 정치적 판단이 필요한 관계이기 때문에 오세훈 서울시장과의 면담도 요청했다.
하지만 서울시는 시민들이 철거를 반대하더라도 예정대로 진행할 것이며, 세월호참사를 기억하는 식수 혹은 표지석 설치는 협의해보겠다는 입장으로 대응했다는 게 4.16연대의 설명이다.
세월호 가족들은 서울시의 일방적 통보에 반발하며 대안 마련을 위한 협의를 요구하고 있다.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는 “공사 기간 중에는 임시 이전하고, 완공 후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 취지에 맞게 위치는 충분히 협의 가능하다”며 “하지만 이에 대한 대안 마련은 전혀 검토하지 않고, 서울시장의 면담 또한 추진하지 않은 서울시에 유감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세월호 가족들이 바라는 것은 표지석이나 식수가 아니다”라며 “세월호 기억공간은 시민들의 것인데도 지금 서울시가 일방적으로 철거 통보를 하는 것은 세월호 지우기라 판단된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 [신간] 저는 삼풍 생존자입니다
- “스텔라데이지호 침몰참사, ‘인권 사건’으로 호명돼야”
- 세월호 특검, 대검찰청 증거관리시스템 서버 압수수색
- 文대통령, ‘세월호 특검’ 임명…성역 없는 진상규명 약속
- [기억은 멈추지 않는다] 우리는 얼마나 앞으로 나아갔는가…유가족이 전하는 세월호참사 7년
- [기억은 멈추지 않는다] 예술의 언어로 전하는 위로와 희망…세월호참사 7주기 추념전 ‘진주 잠수부’
- [기억은 멈추지 않는다] 세월호참사 7주기…아직도 마침표 아닌 물음표만 남아있다
- [기억은 멈추지 않는다] ‘잊지 않겠습니다 0416’ 약속 지키기 위한 우리의 노력
- ‘세월호 기억공간’ 철거 시동 건 서울시…유가족, ‘릴레이 1인 시위’ 등 강하게 반발
- 세월호 특검, 불기소 결론…“조작의혹 증거·범죄혐의 없어”
- 세월호 사참위 “잠수함 충돌설, 공식 입장 아냐”
- 사참위 “국정원, 세월호 관련 판사·언론사 사찰 정황 발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