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전유정 기자】청소년이 성인에 비해 다문화수용성이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일 여성가족부가 공개한 ‘2021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1년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71.39점, 성인은 52.27점으로 나타났다. 이 점수가 높을수록 다문화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라는 의미다. 해당 조사는 3년마다 청소년, 성인 총 1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성인의 다문화수용성은 100점 만점에 52.27점으로 지난 2018년 조사 당시 보다 0.54점 떨어졌다.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2018년에 실시된 조사보다 0.17점 높은 71.39점으로 조사 이래 최고 점수를 기록했다.
성인과 청소년 모두 연령대가 낮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연령대 중 20대가 54.4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30대 52.98점, 40대 52.77점, 50대 51.8점, 60대 이상 49.98점 순이었다.
청소년은 중학생이 73.15점으로 고등학생(69.65점)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여성가족부는 코로나19 확산이 이주민과의 교류 기회, 외부에 대한 개방성을 떨어뜨려 다문화수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 2018년 이후 이주민에 대한 한국사회의 인식이 변화됐다고 한 42.6%의 응답자는 변화 요인에 대해 ‘코로나 발생 상황’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성인과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을 측정하는 8개의 구성요소 중 ‘외부에 대한 개방성’에 관련된 점수가 하락했는데, 특히 모두 길거리나 일상생활에서 이주민을 본 적 없다고 답한 성인이 4.5%에서 12.4%, 청소년이 9%에서 18.9%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일상에서 이주민을 자주 볼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고려한다면, 코로나19 확산과 거리두기로 인해 이주민을 만나는 빈도가 줄어들며 수용성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다문화교육 참여 여부가 수용성 결과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교육에 참여한 성인의 수용성(56.88점)이 미참여자(52.02점)보다 높았으며, 청소년의 경우에도 교육 참여자(72.51점)가 미참여자(70.13점)보다 수용성이 높았다.
여성가족부 정영애 장관은 “다문화이해교육 및 활동 참여가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 의미가 있다”라며 “앞으로 연령별 다문화이해교육을 더욱 강화하고, 교류 및 소통의 기회를 늘려 우리 사회의 다문화수용성을 높여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여성가족부는 ‘2021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정책을 점검하는 등 다문화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