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정부가 지난달 경북 울진·강원 동해안 인근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에 대한 복구 비용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4170억원을 지원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7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산불 피해 복구계획’을 발표했다.
복구 계획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인한 피해액을 2261억원, 피해 면적은 2만523㏊으로 추산됐다. 이는 산불 통계를 집계한 지난 1986년 이후 2000년 동해안 산불(2만3794㏊)에 역대 두 번째 규모다. 또한 이번 산불로 인해 주택 322동을 비롯한 농기계 1899대, 농‧어업시설 393개소 등의 사유시설과 마을상수도‧소각장 등 공공시설 82개소가 소실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중대본은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4170억원을 투입한다. 복구비 중 2903억원은 국비로, 1267억원은 지방비로 충당할 방침이다.
배정된 복구비를 피해 지자체별로 살펴보면 △울진 3009억3300만원 △동해 568억4400만원 △삼척 293억3600만원 △강릉 257억8400만원 등이다.
분야별 복구비용을 살펴보면, 먼저 주택 전·반파 피해에 대한 복구 지원금으로 51억원을 지원한다. 철거 비용은 지자체에서 부담할 예정이다. 중대본은 산불 피해를 입은 주택의 세입자와 산불 진화 과정에서 주택 일부 등이 파손돼 수리가 필요한 이재민도 지원한다. 또한 조립주택을 제작, 설치하는 비용으로 89억원을 투입하고 산불로 소실된 농기계, 농막, 축사 등을 새로 사거나 재설치하는데 26억원을 지급한다.
아울러 중대본은 각 지자체에게 75억원을 추가 지원해 현지 실정에 맞는 자체 지원기준을 마련하도록 권고했다.
가장 피해가 극심했던 산림 관련해서는 여름철 장마나 호우로 2차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피해 나무를 베어내는 긴급벌채비용 532억원을 전액 국비로 지원한다. 장기적으로는 2688억원을 투자해 산림 피해를 복구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중대본은 임산물 채취 종사자 등 주 소득원에 피해를 입은 시민들에게도 생계비를 지원하고, 대체 소득사업 지원도 추진한다.
중대본 전해철 본부장은 “산불 피해지역이 신속하고 온전하게 회복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재정 등 지원을 계속해 나가겠다”며 “52만여 점의 구호물품 및 1만2000여 명의 자원봉사 참여, 구호 성금 등을 모아준 국민에게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3월 초 경북 울진·강원 동해안 부근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했다. 해당 산불은 약 213시간 만인 지난달 13일 오전 9시경 진화됐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남녀편견지사],[존폐 기로에 선 여가부], [내 이웃, 이주민]
좌우명: 꿈은 이루어진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