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김효인기자】 3월 생산자물가가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5년2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1.3% 오른 116.46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8.8% 오른 수치로 16개월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다. 상승폭은 2017년 1월(1.3%) 이후 최고치다.
생산자물가는 국내 생산자가 국내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을 보여주는 지표다. 지수가 높을수록 생산자들의 판매 가격도 오르기 때문에 생산자물가는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주요 등락 품목을 살펴보면 지난달 농림수산품은 -6.6%에 이어 -6.3%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다만 농산물(-1.3%), 수산물(-1.2%) 등은 하락했으나 축산물이 3.5% 상승해 전월 -5.1%에서 0.2%로 상승 전환했다.
같은 기간 공산품은 14.3%에서 14.6%로 올랐고, 서비스는 2.5%에서 2.7%로 오름세를 이어가면서 상승률이 소폭 확대됐다. 공산품은 석탄 및 석유제품(15.6%)과 화학제품(2.8%), 제1차 금속제품(1.5%) 등이 오르면서 전월 대비 2.3% 올랐다.
특히 석탄및석유제품 등락률은 지난 2020년 6월(21.3%) 이후 1년9개월 만에, 화학제품은 2021년 4월(3.4%) 이후 11개월 만에, 제1차금속제품도 같은 해 11월(3.1%) 이후 4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서비스 항목에선 식재료와 인건비, 국제 곡물가격 상승 영향으로 음식점 및 숙박 서비스가 0.9% 올랐다. 운송 서비스가 항공 화물 등 물품량 증가 영향으로 0.1% 상승해 전월대비 0.3% 오름세를 기록했다.
이밖에도 전기·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유연탄, LNG등 주요 생산연료 가격 인상으로 전기가 4.3% 오르면서 0.2% 올랐다.
물가변동을 생산 단계별로 측정한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원재료(8.0%)와 중간재(2.0%), 최종재(1.2%) 등이 모두 오르면서 전월 대비 2.3% 상승했다. 이 또한 3개월 연속 상승세다.
전년 동월 대비 국내 공급물가도 원재로(46.6%)와 중간재(14.3%), 최종재(5.0%) 등이 모두 올라 13.7% 오르며 14개월 연속 상승세다.
수출과 국내 생산품의 전반적인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총산출물가지수는 공산품(3.4%) 중심으로 전월 대비 2.2%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2.0% 오른 수치다.
관련기사
- 러·우크라 戰으로 치솟는 국제 유가…휘발윳값 리터당 1739.8원
- 외식 물가동향 첫 공개…한 달새 프랜차이즈 62곳 중 16곳 가격 인상
- 삼겹살·라면값도 올랐다…1월 외식물가 상승률 13년 만에 최고
- 1월 소비자물가 3.6% 상승…넉 달 연속 3%대 고공행진
- 소비자심리지수 소폭 반등…집값 전망은 5개월째 하락
- 우리-하나은행, 은행권 최초 공동점포 연다
- 생필품 물가 전년比 5.8% 상승…밀가루 최대 15.2%↑
- 편의점 CU, 치킨류 가격 평균 10% 인상…‘GS25·세븐일레븐’은?
- 원부자재값 인상은 핑계?…소단협 “치킨 가격 인상, 근거無”
- 4월 생산자물가지수 전년比 9.2%↑…돼지고기·식용유 가격 급등
- 화물연대 내일부터 무기한 총파업 돌입…물류대란 우려
- 소비자물가, 5개 품목 중 1개 두자릿수 상승…양배추 55% 인상
- 올 1~5월 물가상승률 4.3%…한은 “당분간 5% 크게 상회할 것”
주요기획: 김효인기자의 내맘대로 레트로 시리즈, 물티슈의 배신 시리즈, 젠더 이코노미 시리즈
좌우명: 盡人事待天命(진인사대천명)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