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조유빈 기자】올해 생활필수품 가격이 지난해보다 평균 5.8% 상승한 가운데, 이에 대한 정부의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이하 소단협)는 올해 1분기 생활필수품 가격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420곳의 유통업체에서 판매 중인 생활필수품 품목 35개와 제품 78개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는 물가상승 동향을 파악하는 한편, 합리적 소비를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취지에서 비롯됐다.
조사 결과 전년 동기 대비 평균 가격 상승률은 5.8%로, 32개 품목의 가격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3개 품목의 경우 가격이 하락했다.
가격이 오른 32개 품목의 평균 상승률은 6.9%로, 전체 평균 상승률보다 1.1%p 높았다.
가격 상승률 상위 5개 품목은 밀가루(15.2%), 사이다(14.7%), 콜라(13.7%), 쌈장(13.0%), 식용유 (12.6%) 순으로 조사됐으며, 평균 상승률은 13.8%로 조사됐다.
한편 가격이 하락한 3개 품목은 달걀(-10.6%), 샴푸(-5.4%), 햄(-0.2%) 등이었다.
총 78개의 제품 중에서는 66개 제품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것은 19.1%로 펩시콜라(롯데칠성음료)였다. 이어 곰표 밀가루 중력분(대한제분)이 17.4%, 칠성사이다(롯데칠성음료)가 14.7%, 콩 100% 식용유(오뚜기)가 14.6%, 고소한 참기름(오뚜기) 14.3% 순으로 파악됐다.
특히 펩시콜라는 지난해 2월과 12월에 각각 7.9%, 7.3% 정도 출고가가 인상된 부분이 소비자가격 상승에도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된다.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보면 35개 품목 중 28개 품목 가격이 상승했고, 7개 품목이 하락했다. 가격이 오른 품목의 평균 상승률은 3.9%로 나타났다.
가격 상승률 상위 품목은 씨리얼(11.5%), 밀가루(10.3%), 사이다(8.9%), 고추장(7.4%), 된장(6.6%) 순으로 나타난 반면에 가격 하락률 상위 5개 품목은 햄(-8.1%), 즉석밥(-2.9%), 샴푸(-2.0%), 달걀(-1.1%), 오렌지주스(-0.8%) 순이었다.
지난해 4분기 대비 상승률 중에서는 씨리얼, 밀가루 품목의 가격 상승이 돋보였다. 이는 밀 주요 수출국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분쟁에 따른 수출 차질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소단협은 식용유, 밀가루 등 기초식품 재료의 원재료 상승에 대한 정부의 장기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소단협 관계자는 “식용유와 밀가루 제품은 기초식품으로 소비자의 체감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정부에서도 적극적인 해결책 마련에 힘써야 할 때”라며 “사료, 식품 원료구매 자금 추가 금리를 인하하는 등 단기적인 대책뿐 아니라 식량자급률을 높여 해외 원료 시장 상황에 흔들리지 않는 장기적인 가격 안정화를 도모해야 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