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중국 출발 입국자에게 강화된 입국 검역 조치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인접 지역인 홍콩·마카오 출발 입국자에 대해서도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4일 중국 내 국내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하 코로나19) 상황 악화에 따라 시행한 입국 검역조치 강화 방안 중 일부를 오는 7일부터 홍콩·마카오 출발 입국자에 대해서도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 배경에 대해 중대본은 “최근 홍콩에서 확진자와 사망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점, 12월 홍콩 출발 입국자 수가 중국발 입국자 수를 추월한 점 등의 방역상황과 미국, 캐나다 등 주요국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며 “이후 전문가 자문과 관계부처 논의를 거쳐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중대본은 홍콩·마카오 출발 입국자에 대해 중국 본토에서 입국하는 승객과 같은 조치를 모두 적용하지는 않을 계획이다.
중대본은 “우선 홍콩·마카오 출발 입국자에게는 입국 전 PCR(전문가용 RAT) 검사(음성확인서)와 탑승 전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Q-CODE) 입력 의무화를 적용한다”며 “입국 시 공항검사센터에서 코로나19 검사에서 양성 판정된 단기체류 외국인은 임시재택시설에서 7일간 격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입국 후 PCR 검사 비용, 임시재택시설(호텔) 숙박비는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며 “입원 치료가 필요할 시 중국 국적자는 진료비 전액을 본인이 부담하며, 홍콩·마카오의 경우 입원료는 지원되지만 식비와 치료비 등은 지원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추후 해당 지역과 주변 국가의 방역상황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해외유입 확진자가 증가하거나 신규 변이가 확인되는 경우 추가 조치 도입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강화된 방역조치가 적용된 첫 날인 지난 2일 인천공항으로 입국한 중국발 항공기 승객(승무원 포함)은 총 1052명으로 집계됐다. 이들 중 309명이 검사를 받았으며, 61명이 확진됐다. 양성률은 19.7%로 5명 중 1명인 셈이다.
한편 방역당국이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강화된 방역조치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전날 지자체에 PCR 검사대상인 중국발 입국자 명단을 공유하는 질병관리청 시스템에서 오류가 발생했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승객정보사전분석시스템(APIS)에서 연계받은 정보를 큐코드에 이관하던 중 일부 입국자 정보가 일시적으로 누락된 것”이라며 “직후 누락된 정보를 이관해 정상화 조치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질병관리청은 재발 방지를 위해 시스템 간 연계현황을 전수 점검하는 등 전반적인 시스템을 점검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남녀편견지사],[존폐 기로에 선 여가부], [내 이웃, 이주민]
좌우명: 꿈은 이루어진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