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임혜현 기자】미국 장기 국채금리가 2007년 이후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하면서 뉴욕 증권시장이 크게 동요했다.
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30.97포인트(1.29%) 하락한 3만3002.38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 대비 58.94포인트(1.37%) 하락하면서 4229.45로 거래를 마쳤고, 나스닥도 전장 대비 248.31포인트(1.87%) 떨어진 1만3059.47로 마감했다.
10년물 국채금리가 4.8%를 돌파하며 지난 2007년 8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 같은 국채금리 상황은 미 연방준비제도가 고금리 정책을 당분간 더 유지할 것이라는 예측에 따른 것이다. 30년물 국채금리도 4.9%를 넘어섰다.
지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위원들의 대다수는 올해 1회 더 금리를 올릴 필요가 있다는 인식을 드러냈다. 올해 1회 더 금리를 인상할 경우 내년에는 0.25%포인트씩 2회 금리가 인하될 것으로 예상지만, 문제는 일부 인하에도 5%를 웃도는 고금리 환경이 상당 기간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데 있다.
국채금리의 상승은 기업들의 차입비용을 키워 경제에 부담이 된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관련기사
임혜현 기자
todaynews@ntoday.co.kr
담당분야: 경제산업
주요기획: [‘지급거절·모르는 척’ 1등 삼성생명, 오너 지배구조 유지 쓰였나], [소비자 부담·규제패싱 들러리? 현대카드 애플페이, 외화내빈 우려]
좌우명: 더 나은 세상을 향한 오늘의 기록 다른기사 보기
주요기획: [‘지급거절·모르는 척’ 1등 삼성생명, 오너 지배구조 유지 쓰였나], [소비자 부담·규제패싱 들러리? 현대카드 애플페이, 외화내빈 우려]
좌우명: 더 나은 세상을 향한 오늘의 기록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