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변동휘 기자】 챗GPT로 AI(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다양한 문제점들도 부각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개인정보 보호 관련 이슈가 수면 위로 부상하며 각국 정부와 기업들도 규제 카드를 꺼내드는 모습이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탈리아 데이터보호청은 지난 1일(현지 시간) 챗GPT 접속을 차단하고 개발사 오픈AI의 GDPR(유럽연합 개인정보보호규정) 준수 여부를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이나 북한, 이란 등의 국가에서는 일찍이 접속이 금지됐지만, 서방 국가에서 챗GPT에 대한 차단 조치를 단행한 것은 처음이다.
이 같은 조치를 단행한 사유로 이탈리아 당국은 챗GPT의 데이터 수집 및 저장과 미성년자 보호를 제시했다. 이들은 “플랫폼 운영의 기초가 되는 알고리즘 학습을 목적으로 개인 데이터를 대량 수집하고 저장하는 것을 정당화할 법적 근거가 없다”며 “사용자의 나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미성년자들의 발달 및 인지 수준과 비교했을 때 절대적으로 부적절한 답변에 노출될 수 있다”고 밝혔다.
챗GPT에 대한 규제 기조는 다른 유럽 국가들로도 번지려는 모습이다. BBC에 따르면, 아일랜드 데이터 보호 위원회는 접속 차단 조치에 대한 경위를 파악하기 위해 이탈리아 규제 당국과 접촉했으며, 이 문제에 대해 모든 EU 회원국 데이터 보호 관계부처와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영국 정보위원회는 AI 발전을 지원하는 것과 별개로 데이터 보호법 위반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준비가 됐다는 입장이며, 독일 개인정보 감독기구도 개인정보 보안 우려를 이유로 차단 조치를 내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각국 규제 당국이 나서게 된 계기로는 최근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거론된다. 지난달 챗GPT에서 약 9시간 동안 일부 이용자들의 프로그램 사용 기록이 다른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당시 오픈AI는 유료 서비스인 챗GPT플러스 이용자 중 1.2%의 이름과 이메일, 청구 주소, 신용카드 마지막 4자리와 유효기간 등이 의도치 않게 노출됐다고 밝혔다.
국내 관계부처에서도 이를 눈여겨보고 있는 상황이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개인정보위원회 고학수 위원장은 지난 3일(현지 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특파원단 간담회에서 한국 이용자와 관련된 이슈는 없는지 알아보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 데이터가 어떤 식으로 챗GPT의 학습에 반영되는지 알아보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정당한 권한 없이 개인정보 수집, 이용, 제공 등을 했는지 따져볼 부분이 있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일부 기업들도 챗GPT로 인한 기밀 유출을 우려, 보안 강화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삼성전자 DX부문은 최근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 중이며, 그 결과를 토대로 챗 GPT 활용 지침 세부안을 만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는 지난 2월부터 보안성 검토를 거쳐야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으며, 포스코는 내부 인트라넷을 통해서만 챗GPT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한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디지털 야누스, NFT], [IT 대항해시대], [기로에 선 K-MMORPG], [디지털 신곡(神曲)]
좌우명: Be in the Frontline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