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세진 기자】 청주시가 궁평2지하차도가 물에 잠긴 후에도 우회하라고 권유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노선 우회가 시 내 버스 회사와 협의된 사안이었다고 주장했다.
18일 청주시 등에 따르면, 지난 15일 오전 8시 49분경 청주시 대중교통과는 단체 카카오톡 방을 통해 시내버스 업체들에 우회 노선을 통보했다. 강내면에서 미호강을 건너 오송역으로 향하는 도로가 침수됐으니, 노선을 우회 운행하라고 안내했다.
우회 노선에는 참사가 발생한 궁평2지하차도가 포함됐는데, 해당 차도는 이미 오전 8시 40분경 침수돼 소방 당국이 구조작업을 진행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청주시가 우회 노선을 통보했을 당시는 이미 지하차도가 물에 잠긴 지 9분이 지난 시점이다.
이에 더해 청주시는 사고 발생 2시간 30분 뒤인 오전 11시 14분에 ‘지하차도 침수로 차량 통행이 불가하니 우회하라’는 문자를 시민들에게 전송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사고 예방과 더불어 사후 관리까지 부실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이런 논란에 청주시 대중교통과는 시내버스 회사들에게 통제 도로를 우회해 궁평2지하차도를 이용하라고 한 것은 사실이지만, 사전에 버스 회사들과 협의가 다 된 사항이었다고 주장했다.
청주시 대중교통과 관계자는 <투데이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궁평2지하차도로만 이동하라고 지시한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도로 상황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현장에서 직접 운전을 하는 버스 기사님들이다. 그렇기에 버스 업체 사람들과 각 회사의 노선관리 직원들의 의견을 조율해 오송으로 갈 수 있는 우회노선을 권유한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당시 오송으로 갈 수 있는 방향이 다섯 군데가 되는데, 그 중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길이고 효율적인 노선이 궁평2지하차도여서 권유한 것”이라며 “다만, 버스 회사 업체들도 당시 현장 상황을 몰랐고, 관련 부서도 해당 지점에 사고 상황을 인지하지 못했던 것은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도로 통제의 경우 대중교통과의 주요 업무가 아니며, 도로 통제 관련된 부서는 엄연히 따로 있다. 해당 부서에서 선제적으로 도로를 막았거나 관련 내용이 전달이 됐더라면 궁평2지하차도로 우회해서 가라는 권유도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번 지하차도 우회와 관련해 청주시내 버스회사에 질의 한 결과 현재 수사중인 사안이라 별도의 입장을 밝히기가 어렵다며 말문을 아꼈다.
한편 지난 17일 경찰은 이번 사고의 원인과 관리 책임을 밝히기 위해 전담수사본부를 구성했다. 현재 경찰은 시내버스 내부 폐쇄회로(CC)TV 등을 분석해 사고 당시 정확한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여기, 사람 삽니다], [H세대], [당신은 알지 못하는 삶]
좌우명: 사람 살리는 글을 쓰겠습니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