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SK이노베이션이 유가 및 정제마진 하락으로 2분기 영업실적이 적자로 전환됐다. 배터리사업 자회사인 SK온은 이번 분기에도 영업손실을 기록했지만 분기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하며 성장제를 이어갔다.
28일 SK이노베이션은 컨퍼런스콜을 열고 올해 2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2분기 매출액은 18조7272억원, 영업손실 1068억원을 기록해 지난 분기와 비교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157억원, 4818억원 줄어들었다.
SK이노베이션이 2분기에 적자전환한 가장 큰 원인은 석유사업에서만 영업손실규모가 4112억원에 달했기 때문이다. 석유사업 영업이익은 경기둔화 우려로 유가와 정제마진이 하락하면서 지난 분기 대비 6860억원이나 급감했다.
반면, 윤활유사업은 유가 하락으로 원가가 줄어 마진이 개선됐다. 이에 지난 분기 대비 7억원 늘어난 2599억원의 영업이익을 실현했다. 석유개발사업 영업이익은 유가 및 가스가격 하락 영향으로 지난 분기 대비 453억원 줄어든 682억원을 기록했다.
화학사업은 납사가격 하락에 따른 재고관련손실과 수소 등 부산물 판매 수익이 줄었지만 PX(파라자일렌) 중심의 견조한 시황에 힘입어 1702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소재사업은 주요 고객사의 판매량이 늘면서 지난 분기 대비 적자규모를 39억원 줄이며 1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배터리사업은 지난해 신규가동을 시작한 공장들의 생산성 향상과 판매량 증가로 성장세를 이어갔다. SK온의 2분기 매출액은 지난 분기 대비 3908억원 늘어난 3조6961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SK온이 출범한 지난 2021년 4분기 이래 분기 역대 최대 매출이다. 이번 분기에 1315억원 영업손실을 봤으나 신규 공장 수율 제고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효과가 반영되며 지난 분기보다 손실액을 2132억원 줄일 수 있었다.
SK이노베이션은 하반기에는 석유 제품 전반에 걸쳐 수요가 늘어나고 아시아지역이 정기보수 시즌에 들어가며 수급 개선이 이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배터리사업 역시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 추세가 지속되리라 내다봤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배터리사업은 상반기 매출액이 7조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2조5000억원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SK온의 성장세를 반겼다. 이 관계자는 “석유사업은 하반기 미국 긴축 기조 완화가 예상되고 견조한 이동 성수기 영향으로 개선세가 기대된다”라며 “배터리를 포함한 그린 포트폴리오 강화와 기존 석유화학사업의 친환경 비즈니스 모델 전환을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하는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청년정책], [탈서울 인지방], [2023 전국동시조합장선거], [좋은주택 만들기], [건설산업 선진화], [농민권리를 외치다]
좌우명: 지난이진(知难而进)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