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잇따른 사망으로 교원들이 집단 우울감에 빠졌다는 우려가 제기되자, 정부가 이번 2학기 내 희망하는 모든 교원을 대상으로 심리검사 지원에 나섰다.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는 지난 15일 이 같은 내용의 ‘교원 마음건강 회복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정부는 교사의 심리 검사와 상담 및 치료를 지원하기로 했다.
희망하는 교원은 2학기 안에 심리검사를 받을 수 있다. 교장·교감을 비롯해 직급이나 담당 교과목에 상관없이 교원이면 누구나 가능하다.
검사는 온라인으로 진행하거나 각 시·도 교육청의 교원치유지원센터(26개) 또는 광역시·도, 시군구 단위로 운영되는 보건복지부 정신건강복지센터(261개)를 방문해 받으면 된다. 학교·자택 인근 병원에서 검사를 받은 뒤 사후 정산받을 수 있다.
교육부는 “업무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은 유아·특수교원, 초등 저학년 담임 교원과 아동학대 신고 경험 등으로 사고 후유 장애(트라우마)를 겪는 교원은 우선 상담을 받되, 필요한 교원은 이 기간과 상관없이 상담을 받으면 된다”고 했다.
검사 결과 상담이 필요한 경우, 교원치유지원센터 상담(치유)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민간 전문가와 심층 상담도 받아볼 수 있다.
의학적 치료가 필요한 위기 교원은 교육부와 연계된 협력 병원이나 주거지 인근 전문병원 등 원하는 곳에서 치료받을 수 있다.
또한 정부는 스스로 목숨을 끊고 싶은 충동을 느끼는 고위험 교원을 위해 교사 온라인 커뮤니티와 교원단체, 교육청 누리집 등에 긴급 심리 상담이 가능한 전화번호를 상시 게재할 방침이다.
전문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은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이 지원하며, 심리 치료 및 전문 상담 기간을 병가로 처리하는 방안도 시도교육청과 협의할 계획이다.
아울러 교원을 위한 맞춤형 심리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2년 단위로 교원에 대한 심리 검사를 정례화한다.
앞으로 교육부는 심리 검사·상담·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관과 병원 목록을 오는 19일까지 각 학교에 안내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남녀편견지사],[존폐 기로에 선 여가부], [내 이웃, 이주민]
좌우명: 꿈은 이루어진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