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윤 대통령 흔들겠다는 의도”
이상민 “‘이재명 리스크’ 미룰 속셈”
추경호 “개헌, 절대 동의할 수 없어”
‘호응’했던 나경원, 논란에 즉각 철회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과 나경원 당선인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내일을 위한 저출산과 연금개혁 세미나'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2024. 05. 16. [사진제공=뉴시스]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과 나경원 당선인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내일을 위한 저출산과 연금개혁 세미나'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2024. 05. 16.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윤철순 기자】 22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나온 야권의 ‘대통령 임기 단축’을 포함한 헌법 개정 요구에 국민의힘이 즉각 반발했다.

권성동 의원은 29일 페이스북에 “이런 식의 개헌논의에 대해 단호하게 반대한다”며 “야당발 개헌론은 오직 현직 대통령을 흔들어보겠다는 정략적 암수로 점철돼 있다”고 밝혔다.

권 의원은 “여당이 총선에서 패배했다고 대통령 임기를 단축시키겠다는 것이 도대체 말이 되느냐”며 “무엇보다 개헌으로 대통령 임기를 단축하겠다는 것은 사실상 탄핵과 동일한 효과를 노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출신인 이상민 의원은 페이스북에 “더불어민주당의 현직 대통령 임기 단축 개헌론은 불손한 속셈에서 비롯된 어처구니없는 주장”이라며 “이재명 대표의 형사재판 진행을 어떻게든 시간 끌어 대선 이후로 미뤄보겠다는 시커먼 속셈일 뿐”이라고 적었다.

최형두 의원 역시 이날 KBS 1R <전격시사>에 나와 “임기 단축이라는 것은 민주당의 꼼수”라며 “국민들이 이 대표 같은 사람이 10년씩 대통령 하는 것을 보고 싶겠느냐”고 날을 세웠다.

추경호 원내대표도 “현직 대통령의 임기 단축을 운운하는 개헌은 절대 동의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대통령의 임기 단축을 고리로 한 개헌은 조국 혁신당 대표가 맨 처음 제안했다. 조 대표는 지난 17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2027년 3월 예정인 대선을 1년가량 단축하자는 개헌안을 제시한바 있다.

조 대표는 “오는 2026년 6월 지방선거 전에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를 실시하고, 21대 대통령 선거를 지방선거 때 함께 실시하자”고 주장했다. 이럴 경우, 윤 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 아닌 4년이 된다.

조 대표 제안에 가장 먼저 반응한 사람은 나경원 국민의힘 당선자다.

나 당선자는 이틀 전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초청 토론에서 “4년 중임제를 논의하면서 대통령 임기 단축 얘기도 하는 걸로 알고 있다”며 “대통령 결단이 필요한 부분이라 우리가 먼저 이야기하는 게 조심스러운 부분도 있지만, 저희가 개헌 논의를 할 때는 모든 것을 열어놓고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었다.

윤 대통령의 임기를 단축해 4년 중임제로 개헌을 하자는 조 대표의 주장에 동의하는 듯한 발언을 한 것이다.

그러나 대통령실과 당이 세게 반발하며 논란이 확산되자 나 당선자는 부랴부랴 수습에 나섰다. 나 당선자는 전날 “대통령과 현 정권을 흔들기 위한, 정략적 의도의 개헌 논의는 저 역시 반대한다”며 자신의 발언을 즉각 철회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