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량 제한, 근본적인 대책 될 수 없어”
【투데이신문 양우혁 기자】 현대차·기아가 전기차 배터리 제조회사·기술 공개에 이어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잠재우기 위해 다시 한번 나섰다.
20일 현대차·기아가 전기차 배터리 충전량과 화재 발생 간에 관계가 없음을 밝혔다. 또 100% 완충해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입장 공개는 최근 배터리 이슈 관련 소비자들이 필요 이상으로 느끼고 있는 불안감을 불식시키기 위한 차원으로 보인다.
현대차·기아에 따르면 전기차 배터리는 완충해도 안전하게 관리되도록 설계돼 있으며, 문제가 생기더라도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가 이를 제어한다고 설명했다.
현대차·기아는 안정성이 검증된 범위 내에서 배터리 충전 용량이 산정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소비자가 완충을 하더라도 배터리에는 추가 충전 가능 용량이 존재하며 운전자가 수치상으로 볼 수 있는 충전량은 총 3개의 마진이 반영된 결과라고 공개했다. 이 3가지 마진을 적용하는 이유는 화재 발생 가능성을 고려한 것이 아닌 배터리의 내구 수명을 확보하기 위한 일환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가령,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의 경우 g당 275mAh의 에너지만 담을 수 있지만, 배터리 제조사는 이보다 낮은 g당 200~210mAh 수준만 사용되도록 설계한다.
자동차 제조사 역시 일부 사용 가능 용량을 마진으로 남겨둔다. 소비자가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 화면 등을 통해 볼 수 있는 충전량 수치는 배터리 셀 제조사와 자동차 제조사가 각각 설정한 마진을 제외한 상태로 안내된다.
BMS가 사용 가능 용량을 재산정하는 리밸런싱(Rebalancing) 과정에서도 일부 용량이 제외된다.
이에 더해 현대차·기아는 배터리 화재 발생 원인은 충전량과 관계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배터리 충전량이 화재의 규모나 지속정에는 영향을 끼칠 수 있지만 배터리 내부의 물리적 단락이나 쇼트 발생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는 아니라는 의견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화재는 제조 불량 또는 외부 충돌 등에 의해 내부에서 물리적 단락 발생 시, 양·음극 간 높은 전류가 흐르고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화학 물질이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산소 및 가연성 부산물 등으로 인해 발화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때 충전량과 무관하게 단락 위치 및 면적, 그리고 사용되는 내부 물질 종류에 따라 실제 발열 및 화재 상황은 다르게 나타난다는 설명이다. 다시 말해 적은 충전량이라 하더라도 단락으로 인한 화학물질의 반응 정도가 클 경우 화재 발생 가능성은 더 높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충전량을 제한하는 것은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윤원섭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는 “충전 깊이(충전율)와 화재는 당연히 관련이 있지만, 지배적인 원인은 아니다”라며 “100% 충전이라는 게 굉장히 상대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100%라고 말하는 것은 안전까지 고려한 배터리 수명”이라며 “물론 충전을 이보다 더하면 위험할 순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과충전은 배터리 셀 제조사나 자동차업체 차원에서 BMS 등으로 이미 차단된 상태” 라고 강조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고객에게 보여지는 완충(100%) 상태는 안전성이 철저히 검증된 구간 내에서의 충전량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불안감을 갖지 않아도 된다”라며 “앞으로도 배터리 사전 진단 및 화재 전이 방지 기술을 보다 고도화해 고객 여러분들이 안심하고 전기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중국發 공급 과잉에 중동 러시까지…“정부 주도로 위기 벗어나야”
좌우명: 유지경성(有志竟成)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