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권신영 기자】 울산·경북·경남 등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밤 사이 사상자가 65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이날도 강풍과 대기 건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진화 작업에 난항이 전망된다.
28일 중앙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산불로 인한 인명 피해는 사망 28명, 중상 9명, 경상 28명 등 65명으로 늘어났다. 경북지역에서 중상 1명, 경상 4명이 추가 집계된 결과다.
이날 오전 5시 기준 중대형 산불로 진화작업이 진행중인 지역은 ▲경북 의성(진화율 95%) ▲안동(85%) ▲영덕(65%) ▲영양(76%) ▲청송(89%) ▲경남 산청·하동(86%) 등 6곳으로 평균 진화율은 83%다.
앞서 전북 무주와 경남 김해, 충북 옥천, 울산 울주 언양·온양 등 5곳은 진화작업이 마무리됐다.
이번 산불로 산립 4만8150ha 규모가 피해 영향을 받았다. 이는 2000년 동해안 산불 이후 역대 최대 규모로 서울 면적(6만523ha)의 80%, 제주도 면적(18만5027ha)의 26%에 달한다.
지속된 산불 사태로 이재민 3만3000여명이 발생했다. 이 중 귀가하지 못한 시민은 2407세대·8078명으로 파악됐으며 주택과 농업시설 등 3481곳이 산불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중대본은 이날 당국이 헬기 126대, 인력 6976명, 장비 936대 등을 동원해 인명피해 최소화에 중점을 두고 진화작업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중대본 이한경 차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재한 중대본 회의에서 “이날도 순간 최대 풍속이 초속 20m의 매우 강한 바람이 예상된다”며 “대기가 건조할 것으로 전망돼 기상 여건이 좋지 않지만 가용한 자원을 총동원해 산불 진화율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날 산불 피해가 심각한 경상북도 안동시,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선포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식물해방일지, 벼랑 끝 경찰들, 벼랑 끝 소방관
좌우명: 차별 없는 세상을 위해 쓰겠습니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