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우영 문학박사<br>
△ 김우영 문학박사

우리나라 말 중에 ‘~적’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한다. 매사에 ~적 이다.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으로 성장이 높아졌다고는 하지만 아직 우린 더 노력해야 한다.”

~적(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한글애호가 배상복 선생님의 분석에 의하면 본래 ~적은 ~의 뜻으로 쓰이는 중국어 토씨였다. 일본사람들이 쓰기 시작한 것을 우리가 배워 쓰게 된 것이다. 영어의 ‘~tic’을 번역 하면서 처음으로 ‘~적’ 이란 말을 썼다고 한다.

이후로는 ‘~식’이란 말 대신 ‘~적’ 이 많이 쓰이게 됐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개화기 잡지나 소설에서 처음으로 ‘~적’이 등장한다. ~적 이란 말이 일본에서 들어온 일제의 잔재말이니 사용하지 말자는 뜻은 아니다. ~적이란 말은 이제 우리말의 상당부분에 뿌리를 내렸고 그 효용가치도 높아 적절히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문제는 ~적의 오용과 남용이 문제라는 것이다. ‘그는 아버지의 말씀이라면 무조건 적으로 따르고 있다’ ‘인터넷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다’ 에서는 → ‘그는 아버지의 말씀이라면 무조건 따르고 있다’ ‘시간, 공간제약이 없다’로 하면 된다.

또 ‘장난적인 답변은 사양합니다.’ ‘조화적인 색채 감각을 바탕으로 했다’에서는 → ‘장난스러운’ 또는 ‘장난기 있는’ ‘조화로운’으로 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몸적으로, 마음적으로 많은 준비를 하지 못했다’는 표현을 → 몸과 마음으로 많은 준비를 못했다.‘

과감히 ~적의 구조조정이 필요한 때 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