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입시기 따라 평가 달라져…내 집 마련 시점 저울질해야”
【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지역별 주택 시세를 비교한 결과, 서울은 최근 20년 동안 400% 넘게 상승하며 누적 상승률에서 타 지역을 압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부동산114는 3일 지난해를 기준으로 기간별로 부동산 시세 변동을 비교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간별 상승률 1위 지역은 다르게 나타났다. 그 중 최근 20년(2002~2021년)은 서울의 주택 시세 상승률이 419.42%로 타 지역을 크게 뛰어넘는 수치를 기록했다.
같은기간 전국 평균 상승률은 334.19%였으며 서울 다음으로 높은 주택 시세 상승을 보인 대전은 전국 평균을 하회하는 325.96%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전남은 동기간 94.11% 상승해 서울과 큰 격차를 드러냈다.
최근 15년(2007~2021년)을 비교한 분석에서는 부산의 주택 시세 상승률이 191.2%로 1위였다. 세종시는 최근 5년(2017~2021년)과 최근 10년(2012~2021년)을 비교해 각각 111.77%와 168.42% 상승해 1위가 됐다. 지난해 한해 동안은 인천이 34.52% 상승해 가장 높은 시세 상승이 있었으며 전남은 1.47% 상승해 가장 주택 가격 변동폭이 작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114 리서치팀 윤지해 수석연구원은 “어느 시점부터 가격 변동을 누적하는지에 따라 평가의 판단이 달라졌다”고 말했다. 윤 연구원은 “예를 들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국면이 포함된 최근 15년 데이터는 부산, 제주, 세종 등 지방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같은 시가 서울과 인천, 연기 등 수도권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윤 연구원은 “개인별로 매입시기가 언제냐에 따라 고평가 혹은 저평가의 판단이 시시각각 달라진다”면서 “정부의 발표처럼 평균 10년 가량 보유하는 자산이라면 단기적 시각보다는 5년 이상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내 집 마련 여부를 고민해 진입 시점을 저울질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청년정책], [탈서울 인지방], [2023 전국동시조합장선거], [좋은주택 만들기], [건설산업 선진화], [농민권리를 외치다]
좌우명: 지난이진(知难而进)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