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렌터카 이용 시 음주가 확인될 경우 시동이 제한되는 방지 시스템이 국내에 시범 도입된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이하 공단)은 올해 음주운전 방지장치가 부착된 차량을 대여해주는 시범운영 사업을 실시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렌터카 음주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로, 현재 공단은 관련 업체와 시범 운영 차량 대수와 사업 시행 시기 등을 조율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광주에서 혈중 알코올 농도가 면허 정지 수치였던 한 고등학생이 렌터카에 8명을 태우고 운전하다가 전신주를 들이받는 등 렌터카 음주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최근 5년간(2016~2020년) 사업용 자동차 교통사고 사망자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화물 1137명(35.9%), 택시 840명(26.5%), 버스 686명(21.7%), 렌터카 505명(15.9%)으로 렌터카 사망자가 가장 낮았다.
하지만 같은 기간 음주로 인한 교통사고 사망자의 경우 렌터카가 83명(65.4%)으로 제일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 화물 22명(17.3%), 택시 17명(13.4), 버스 5명(3.9%)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10만대당 음주운전 사망자 수는 렌터카가 2.2명, 비사업 승용차는 1.3명이었다. 더불어 최근 비사업 승용차의 음주운전 사망자 수는 13.1% 감소한 반면 렌터카는 오히려 11.4%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미국, 스웨덴 등 해외에서 음주운전 경력자를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다. 앞으로 공단은 이번 시범 사업을 거치며 방지 장치의 효과와 문제점, 국내 적용 방안 등을 연구할 예정이다.
한국교통안전공단 권용복 이사장은 “음주운전 방지 장치 설치가 사고 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남녀편견지사],[존폐 기로에 선 여가부], [내 이웃, 이주민]
좌우명: 꿈은 이루어진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