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오는 18일부터 자가검사는 주 1회로, 유증상·고위험군 학생들만 접촉자 검사를 진행하는 등 학교 방역이 완화된다.
교육부는 13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4월 3주 이후 신속항원검사도구(키트) 운영 계획’을 발표했다.
운영 계획에 따르면 오는 18일부터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활용한 선제 검사 횟수가 주 2회에서 1회로 완화되며, 시도교육감이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변경된다. 교직원의 선제 검사는 기존 주 1회를 유지한다.
또한 학교 내 확진자 발생 시 같은 반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7일 내 3회 실시하던 접촉자 검사를 유증상자‧고위험 기저질환자를 중심으로 5일 내 2회 검사하는 것으로 축소된다. 2회 중 1회는 선제 검사가 포함된다.
고위험 기저 질환자는 5일 내 유전자증폭검사(PCR) 1회, 신속항원검사를 1회씩 실시하며 유증상자는 5일 내 신속항원검사를 2회 진행한다.
해당 방역 기준은 이달 말까지 적용된다. 다음달부터 교육부는 정부의 방역·의료 체계 변경 내용 등을 충분히 고려한 뒤, 시도교육청과의 협의를 통해 학교의 국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하 코로나19) 대응체계를 조정할 방침이다.
방역 완화 결정 배경에 대해 교육부는 3월 셋째 주 이후 주간 하루 평균 학생 확진자가 감소 추제로 전환된 점과 확진자 대부분이 유증상자이며, 선제 검사 장기화로 학교·가정의 방역 피로도가 누적된 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주간 하루 평균 학생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3월 셋째 주 6만명에서 넷째 주 5만3000명으로, 다섯째 주에는 4만1000명으로 감소세를 보인 바 있다.
학교 선제 검사 결과와 질병청의 확진자 정보를 연계해 분석한 결과 지난 3월 21일~4월 3일에 발생한 확진자 27만4943명 중 기침·발열·오한 등 유증상자는 24만1478명(87.83%), 무증상자는 3만3465명(12.17%)이었다.
교육부 유은혜 장관은 “전문가들은 당분간 완만한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4월 말까지는 효과성이 입증된 신속항원검사 체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며 “5월 이후부터는 방역당국의 방역지침 변화 등에 따라 학교 방역 지침도 추가적으로 보완해 안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교육부, 오늘부터 세월호 참사 8주기 추모·안전주간 운영
- 학생 인권침해 사례 증가... 피해자 대다수는 장애 학생
- 인권위 “외국인 강사 학력차별 개선” 권고에…교육부 ‘불수용’
- 학습 결손 우려에 불붙은 사교육…지난해 초·중·고 학생 사교육비 ‘23.4조’ 역대 최고
- 2024학년도 대입부터 ‘학종 자소서’ 폐지…올해 고2부터 적용
- “교사도 시민 vs 정치적 중립성 중요” 교원 참정권 두고 ‘갑론을박’
- 서울지역 학교, 확진률 3%·등교중지 15% 해당 시 원격수업 전환
- 코로나 신규 확진자 14만8443명... 위중증 1000명 아래로
- ‘사회적 거리두기’ 18일부로 전면 해제…2년 1개월만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4만7743명…10주만에 5만명 아래로
- 교직 만족도 ‘역대 최저’…교원 3명 중 1명 “다시 태어나도 교편 잡겠다”
주요기획: [남녀편견지사],[존폐 기로에 선 여가부], [내 이웃, 이주민]
좌우명: 꿈은 이루어진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