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세진 기자】중부지방에 내린 집중호우로 반지하에 살던 일가족 3명과 50대 주민이 사망한 것과 관련해 시민사회단체가 정부에 취약계층의 주거권 보장을 위한 재발방지책 마련을 요구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지난 10일 성명을 내고 “정부의 주거 취약계층에 대한 무심함으로 이런 참사가 일어났다”며 “저지대와 상습침수지역의 서민 주거 대책을 당장 마련하라”고 규탄했다.
경실련은 “노후한 다가구·다세대 주택지 중심으로 반지하 주거공간에 대한 전면적 실태 조사가 필요하다”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반지하에 거주하는 세대에 대해 지방정부가 중앙의 지원 하에 주거 이전 사업을 적극적으로 펼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빈곤사회연대와 참여연대 등이 연대한 기초법바로세우기공동행동도 이날 입장문에서 “집으로 돈 버는 사회가 만든 죽음이자 가난과 장애를 가족과 개인의 책임으로 전가해온 사회에서 발생한 인재”라며 “사람들이 최저 주거기준에 미달하는 주거지에 살지 않도록 공공임대주택을 대폭 확충하라”고 주장했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역시 같은날 페이스북에서 “이미 대응할 수 있었고 막을 수 있었음에도 발생한 사회적 타살”이라며 “재난이 일어나기 전에 안전할 권리가 보장되고, 재난이 일어났을 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정부와 국가가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앞서 지난 8일 서울에 쏟아진 집중호우로 관악구 신림동의 한 다세대주택 건물 반지하층에서 40대 여성과 그 여동생 A씨, A씨의 10대 딸이 숨진 채 차례로 발견됐다. 아울러 동작구 상도동에서도 반지하에 살던 50대 여성이 빗물이 쏟아져 들어오는 가운데 탈출을 하지 못하고 자기가 살던 반지하 방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여기, 사람 삽니다], [H세대], [당신은 알지 못하는 삶]
좌우명: 사람 살리는 글을 쓰겠습니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