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
[사진제공=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

【투데이신문 박중선 기자】 최근 금융권의 횡령사고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 5년간 금융사 임직원 횡령규모가 1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이 20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금융업권에서 횡령을 한 임직원 수는 181명, 횡령규모는 1192억3900만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부터 횡령규모는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연도별로 횡령액을 살펴보면 2017년 89억8900만원(45명), 2018년 56억6800만원(37명), 2019년 82억8400만원(28명), 2020년 20억8300만원(31명), 2021년 151억2400만원(20명)이었고, 2022년은 8월까지 790억9100만원(20명)으로 조사됐다.

업권별로 보면 횡령한 임직원의 수는 은행이 97명(53.6%)으로 가장 많았고 보험 58명(32.0%), 증권 15명(8.3%), 저축은행 8명(4.4%), 카드 3명(1.7%) 순이었다.

은행 중에서 횡령 직원이 가장 많은 은행은 하나은행(18명)으로 나타났다. 보험은 동양생명(8명), 저축은행은 참저축은행(2명), 증권사는 NH투자증권(4명)이 가장 많았다.

횡령한 금액 규모 역시 은행이 907억4010만원(76.1%)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저축은행 149억7140만원(12.6%), 증권 86억9600만원(7.3%), 보험 45억7500만원(3.8%), 카드 2억5600만원(0.2%) 순이었다.

횡령규모가 가장 큰 은행은 우리은행으로 716억5710만원에 달했다. 이어 보험은 KB손해보험(12억300만원), 카드는 우리카드(2억5100만원), 저축은행은 KB저축은행(77억8320만원), 증권은 NH투자증권(40억1200만원)이 가장 많았다.

금융업권 횡령의 경우 환수 실적이 저조하다는 것 또한 문제로 지적됐다.

실제 지난 5년간 전체 금융업권의 횡령규모는 401억4800만원으로 이 중 환수된 금액은 127억800만원에 그쳐 31.7%의 저조한 환수율을 기록했다. 특히 저축은행의 경우 환수율이 9.6%(전체 87억8710만원 중 환수금 8억4000만원)에 불과했다.

강 의원은 “금융업권의 횡령이 만연하고 환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여타 직원들에게도 횡령의 유혹이 번져 이성적 판단을 흐리게 할 수도 있다”며 “우리은행 횡령 사건에 대한 현장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대로 된 금융감독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