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환 박사의 국가생존전략 131편

▲ 이경환 박사-글로벌스마트인공지능연구소 대표-인하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명예교수
▲ 이경환 박사
-글로벌스마트인공지능연구소 대표
-인하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명예교수

Spencer(1969)는 저서 ‘사회학 원론’에서 문명의 변동을 합성과 재합성의 총 과정 즉, 동질성(원시성)으로부터 이질성(문명)으로 과정이며, 이러한 변동을 추진하는 매커니즘으로서 생존경쟁을 지적하고 있다. Toynbee(1946)는 저서 ‘역사연구’에서 성장하는 문명은 분화의 극대화로 특징되는 반면에 해체되는 문명은 표준화의 증대에 의해 특징된다고 한다. Eisenstudt(1971)은 저서 ‘사회분화와 계층화’에서 사회분화를 규모가 크던 작던 간에 모든 사회적 단위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사람들이 서로 다른 과업을 수행하고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것과, 이러한 과업과 역할이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 밀접하게 관련된 상황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분화는 무엇에 기인하는가?

파워5속성 즉, 창조, 보존, 결합, 지배 및 귀속속성은 그 특성에 따라 인간의 생각, 행동 및 이들의 상호작용을 지배하여 분화를 유발한다. 예로써 보존속성은 고유한 정체성이나 가치를 창출하는 능력이므로, 전문화와 다양화를 촉진하고,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 등으로 사회를 수평적으로 분화시킨다. 보존속성에 의한 이러한 수평적 분화는 결합속성에 의한 결합을 만들어 낸다. 왜냐하면 전문성과 다양성이 촉진될수록 분화된 부문들 간에 결합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지배속성과 귀속속성은 각각 다른 개체를 지배하는 능력과 다른 개체에 귀속하여 존재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능력에 관계한다. 지배와 귀속속성에 의한 위계관계는 사회의 수직적 분화를 유발한다. 사회의 수직적 분화는 사회의 기능영역 간 또는 기능영역 내에서 계층적 분화를 의미하며, 수평적 사회분화를 지원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창조속성이 함께 작용할 경우 창의적이면서 보다 효과적인 분화가 유발된다. 따라서 국가구성원들에게 파워5속성이 능률적이면서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할수록 분화는 촉진된다. 파워5속성은 인간에게 선천적인 것이므로 사회분화는 파워5속성에 기인한다.

Lauer(1973)는 저서 ‘사회 변동의 관점’에서 위계적 조직형태는 행동을 촉진시키지만 수평적 조직형태는 사람들의 가치를 반영하고 창조성을 촉진한다고 한다. 사람들은 수평적으로 조직되었을 때 문제에 대한 보다 창조적인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지만 이러한 조직 형태는 그러한 잠재적 해결책들을 옮기는 것을 방해할 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수평적 집단들은 조정된 행동보다는 파당과 의견대립으로 기우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계화의 수직적 분화와 평등화의 수평적 분화가 상호 대립적이며 상반되는 특성을 지닌다. 그렇다면 상생과 협력의 완전기능국가를 위해서 이들 중에 어떤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

생존질서가 상대적으로 잘 유지되고 있는 국가의 경우 파워들은 수평적 균형관계 보다 수직적 균형관계가 빈번히 나타나고 있으며, 이 경우 1~2개 부문의 파워가 지배적 파워가 되고, 나머지 파워는 이들에 귀속된다. 예로써 미국은 정치, 사회, 군사, 문화와 같은 파워는 경제적 파워에 귀속되는 경향이며, 영국은 군사적,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엘리트는 영국 왕실에 귀속하여 파워의 수직적 성장을 유지하며, 인도는 종교적 파워(카스트제도)가 지배파워로 작용하고, 나머지 대부분의 파워는 종교적 파워에 귀속되어 있다. 일본인들의 일상적인 국민적 행동과 사고 매카니즘은 천황제의 원리에 지배되고 있다. 상당수의 학자들은 일본이 근대화를 단기간에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천황을 귀속대상으로 한 일본 국민의 단합된 노력의 결과로 보고 있다.

Dye 등(1975)은 저서 ‘민주주의 역설’에서 민주주의의 생존은 인간의 어깨에 달려 있기보다 오히려 엘리트들의 어깨에 주로 의존한다고 한다. 이들은 이것을 민주주의 역설이라고 한다. 민주주의적 가치를 주로 행하는 사람들은 대중이 아니라 엘리트들이다. 만약 엘리트들이 민주주의를 안전하게 보호하지 못하였다면 그것은 오래 전의 사회였거나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다. Schumpeter(1962)는 저서 ‘자본주의, 사회주의 및 민주주의’에서 민주주의는 국민들에게 경쟁하는 엘리트 간 집단주의에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주지만 일단 엘리트들이 집권하였을 때 그들의 정책에 대해서 영향을 줄 수 있는 능력을 반드시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다라고 한다. 따라서 현대의 민주적인 사회에서도 파워의 평등한 분배는 불가능하며, 파워의 불평등은 존재한다.

파워의 불평등은 파워 간에 지배/귀속관계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파워의 수직적 성장을 도모하며 이를 통해서 파워들의 동태적 균형을 유발함으로써 사회발전의 원천을 제공한다. 현대사회는 흔히 특정 파워을 중심으로 수직적 성장관계에 있다. 어떤 국가는 군부를 중심으로, 다른 나라는 경제적 파워를 중심으로, 또 다른 나라는 정치적 파워를 중심으로 수직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데 어떠한 파워가 지배파워 또는 귀속파워가 되는가는 해당 국가와 사회의 특수성이나 역사성에 의존한다. 그러나 민주화와 산업화가 진전된 나라는 가시적 파워보다 비가시적 파워에 의한 지배가 흔히 나타나며, 이러한 지배는 사회구성원들의 명시적 또는 묵시적 합의에 의한 통일되고 인정된 지배 엘리트의 존재를 의미한다.

인성문화는 인종, 성별, 나이, 피부색 등과 무관하게 인간의 보편적이며 천부적인 가치이며, 인간이 만든 이념, 주의 및 주장 등으로부터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섭리에 기반 사회질서를 유발한다. 또한 가치화 역량을 기반으로 한 가치화 인성문화는 양극화 현상을 해소하고 상생과 협력의 사회질서를 구현한다.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의 다양한 부문에 속한 엘리트들이 가치화 기반 인성 문화에 지배될 경우 이러한 국가는 양극화 현상을 자율적으로 해소하고 상생과 협력의 완전기능국가로 발전한다. 따라서 상생과 협력의 완전기능국가 구현을 위해서는 국가구성원들은 가치화 기반 인성 문화를 기반으로 한 파워의 수직적 성장이 요청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