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숙 이어 두 번째 수용 입장 내
“정략의도 읽히지만, 하는 게 낫다”
그럼에도 정부여당은 “22대서 처리”
【투데이신문 윤철순 기자】 국민의힘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윤상현 의원이 자당 소속 윤희숙 전 의원에 이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연금개혁안 소득대체율 44%를 수용하겠다’고 한데 대해 긍정적 입장을 밝혔다.
윤 의원은 이날 <뉴스파이팅 배승희입니다>에서 “여야 간 합의라도 빨리 하자는 입장이다. (이 대표의 수용이) 정략적 의도가 있는 것으로도 읽히기도 하지만, 이 대표가 전격 수용한 것에 대해 ‘이거라도 하는 게 낫다’고 평가한다”며 이렇 말했다.
윤 의원은 “모수개혁에 합의만 하는 것도 대단히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화답을 해야 하는데 타이밍이 안 좋다”며 “28일 본회의에 (연금개혁안이) 올라오는 것에 대해서는 정략적 의도가 있는 것으로 읽히니까 다음 국회 시작하자마자 첫 번째 본회의 때 연금개혁특위를 구성하고 이 안을 가장 먼저 통과시키자”고 언급했다.
윤 의원은 “21대가 워낙 타이밍이 묘하다”며 “이 대표가 진정성이 있다면 빨리 합의해서 원포인트로 본회의를 열어 (연금개혁안을) 통과시키자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대표는 지난 23일 정부여당을 향해 “21대 국회 임기 내에 국민연금 개혁안을 합의해 처리하자”고 제안했다. 21대 국회 종료(5월 29일)를 앞두고 연금 개혁안 처리가 무산될 위기에 놓이자 협상을 제안한 것이다.
이 대표는 이날 “정부·여당이 결단만 하면 28일 국회 본회의에서 연금 개혁안이 처리될 수 있다”며 “이 문제와 관련해 윤 대통령과 회담을 개최할 용의도 있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연금 개혁은 22대 국회에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거부했다. 배준영 원내수석부대표는 ““미래 세대의 입장도 충분히 고려한 개혁이 돼야 한다”며 “22대 국회에서 충분한 논의를 거쳐 국민적 공감 속에 여야가 합의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윤 대통령도 지난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21대 국회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조급하게 하는 것보다, 22대 국회로 넘겨 폭넓은 공론화 과정을 거쳐 사회적 합의를 끌어내는 것이 맞는다”는 입장을 밝힌바 있다.
김진표 국회의장까지 나서 “21대 국회에서 마무리짓자”고 했지만, 정부여당이 거부하면서 ‘윤석열 대통령이 공약하고 한시가 급한 국가적 과제인 연금 개혁을 여당이 외면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