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의약품도 고율 관세 검토
【투데이신문 양우혁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산 자동차에 대해 약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도체와 의약품에도 비슷한 수준의 관세를 예고하면서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산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러라고 자택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 후 기자들과 만나 “자동차 관세율을 4월 2일 발표할 예정”이며 “관세는 25% 정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관세에 대해서도 “25% 이상이 될 것이며, 1년이 지나면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 수입산 자동차 관세 정책을 4월 2일 발표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이번 발언에서 구체적인 관세율을 제시하면서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부과한 25% 관세와 유사한 수준을 언급했다.
미국이 자동차 관세를 인상하면 한국 자동차 업계는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지난해 한국의 자동차 수출량 278만대 중 143만대가 미국으로 향했다. 수출량의 절반 이상이 영향을 받는 셈이다.
KB증권에 따르면,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에 10%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현대차와 기아의 연간 영업이익이 약 4조3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만약 25%의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수익성 악화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모든 수입산 자동차에 일괄적으로 관세가 적용되면, 멕시코 공장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차량도 타격을 받게 된다. 현대차·기아는 멕시코 공장을 통해 미국 시장에 차량을 공급하고 있어 관세 부담이 추가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미국에 공장을 설립하는 기업들에게는 관세를 면제할 계획이며 미국으로 들어와 공장을 짓는다면 관세 부담이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국가별로 면제를 할지, 개별 기업에 혜택을 줄지는 아직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적극적인 관세 정책을 추진하며 글로벌 무역 환경을 흔들고 있다. 이달 초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했고, 지난 13일에는 국가별 맞춤형 상호 관세 도입 방침을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장벽을 높여 해외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하고 공장을 설립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을 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전 세계 대기업들이 미국으로 돌아오고 싶다는 연락을 해오고 있다”며 “우리가 관세와 세금, 인센티브를 통해 경제적으로 추진하는 정책들 덕분에 기업들이 미국으로 복귀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향후 반도체, 자동차 등 대기업들의 미국 투자 발표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고하며 미국 제조업 부활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중국發 공급 과잉에 중동 러시까지…“정부 주도로 위기 벗어나야”
좌우명: 유지경성(有志竟成)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