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보험사 상품유형 따라 평균 11.9~19.6%↑
중소규모 롯데손보 예외적용, 20% 이상 인상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투데이신문 이세미 기자】 올해 주요 대형 생·손해 보험사들이 실손의료보험(이하 실손보험) 평균 인상률을 최대 19.6%로 확정했다. 이는 최근 5년간 최고 수준의 인상률이다.

8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고용진 의원이 금융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4대 손해보험사인 삼성화재, 현대해상, KB손해보험, DB손해보험의 실손보험 인상률이 상품유형에 따라 평균 11.9~19.6%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손보험은 지난 2009년 10월 이전에 판매된 1세대 보험인 ‘구(舊)실손보험’과 이후 2017년 3월까지 판매된 ‘표준화실손보험’, 2017년 4월 이후 판매된 ‘신(新)실손보험’으로 나뉜다.

손해보험사의 1세대 실손보험인 구실손보험은 각사 평균 17.5~19.6%로 인상됐으며 표준화실손보험의 경우 각사 평균 11.9~13.9% 올랐다. 이중 삼성화재의 구실손보험 인상률은 19.6%를 기록하며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3대 생명보험사인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의 경우 구실손보험을 평균 8∼18.5%로 인상하고, 표준화실손보험은 평균 9.8~12.0% 올렸다. 이 가운데 삼성생명의 구실손보험 인상률이 18.5%로 가장 높았다.

다만 롯데손해보험은 중소 보험사를 통틀어 유일하게 20%가 넘는 인상률을 적용했다. 롯데손보는 구실손보험과 표준화실손보험을 각각 평균 21.2%와 23.9%로 올렸다.

금융업계에서는 롯데손보가 인상률 상한선을 넘길 수 있었던 요인은 금융당국과의 경영개선협약을 체결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보험업감독규정에 따라 금융당국과 경영개선협약을 맺은 보험사는 보험료를 25% 초과해 인상할 수 있다.

지난해 한화손해보험도 금융당국과의 경영개선협약에 따라 50%대 인상률을 적용한 바 있다. 한화손보는 올해 경영실적이 크게 개선되면서 구실손과 표준화실손 보험료 인상률을 각각 6.8%와 8.2%로 결정했다.

2017년 4월 이후 판매된 신실손보험은 생·손해보험사 모두 보험료를 동결했다.

한편 올해 실손보험료 인상률은 최근 5년간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 구실손보험과 표준화실손보험의 위험손해율이 각각 143%와 132%를 기록하며 큰 적자가 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위험손해율이란 계약자가 납입한 보험료에서 사업운영비를 제외한 ‘위험보험료’ 대비 보험금 지급액의 비율을 뜻한다.

가입자는 3~5년 갱신 주기가 돌아올 때마다 실제 인상이 단행되므로 체감 인상률이 대체로 50%가 넘고 고령자의 경우에는 2~3배가 오른 고지서를 받기도 한다.

현재 보험업계에서는 실손보험료 인상에 따른 소비자들의 불만을 인지하면서도 ‘실손보험을 팔면 팔수록 손해’라는 목소리가 지배적이다. 업계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실손보험으로 쌓인 적자가 6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