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최병춘 기자】 한·미·일 중 한국의 주요 기업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가 가장 낮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23일 매출액 100대 기업의 MSCI(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한 ‘한·미·일 주요기업 ESG 등급 비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분석은 MSCI에서 검색이 가능한 한국 50개사, 일본 87개사, 미국 73개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최고등급(AAA)을 받은 일본기업은 이토추상사, 소니, KDDI, 후지쯔, SOMPO, 스미토모화학 등 6개사, 미국은 마이크로소프트, 베스트 바이 등 두 곳이었다. 반면 한국기업 중 최고등급을 받는 기업은 LG디스플레이, KT&G, (주)SK로 AA 등급을 받았다. AAA 등급은 없었다.
ESG 등급 평균도 일본(4.6), 미국(4.4), 한국(3.6) 순이었다. 등급 분포는 한국의 경우 BBB(15개사, 30.0%), BB(15개사, 30.0%)가 가장 많았던 반면 일본은 A(29개사, 33.3%), BBB(20개사, 23.0%) 등급을 받은 기업의 비중이 높았다. 미국은 BBB(30개사, 41.1%)와 A(16개사, 21.9%)가 많았다.
ESG 평가 우수항목(Leader 등급)의 경우 일본은 기업행태(corporate behavior)가 꼽혔다. MSCI에서는 기업행태를 경영진 등의 부정행위, 부패, 횡령, 자금세탁 등 반독점 위반 등 비즈니스 윤리 관련 행태로 정의하고 있다.
미국은 기업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 한국은 청정기술개발(Opportunities in clean tech) 분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전경련은 보고서에서 “ESG 경영에서 가장 선도적인 국가는 의외로 미국이 아닌 일본으로 조사됐다”며 “일본기업의 ESG 경영 선도 사례를 분야별로 면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한국기업 입장에서는 글로벌 기준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ESG 경영 요소를 검토해 점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100대 기업 중 일본은 87개사, 미국은 73개사가 검색 가능한 데 반해 한국이 50개에 그치는 것은 한국 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방증”이라며 “우리 기업들의 보다 능동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CJ주식회사, ESG위원회 신설…그룹 ESG경영 강화
- 미래에셋증권, ESG위원회 설립 후 첫 안건 결의
- 포스코, 지속가능한 100년 기업 위한 ESG경영 박차
- [카드뉴스] KT&G의 ESG경영
- 우리카드, 2억 달러 규모 해외 ESG채권 발행
- 생존 돌파구로 떠오른 ESG 열풍…신뢰성 확보는 아직
- KB금융, 뉴딜·혁신금융 지원…ESG경영 사회적 가치 창출 가속화
- 롯데카드, 영세·중소 가맹점 지원 위한 1500억원 규모 ESG채권 발행
- 롯데·해태 이어 농심도 제품 내 플라스틱 용기 사용 중단…환경단체 요구에 ‘응답’
- [데이터 인사이트] 한·미·일 주요기업 ESG 등급 비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