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세진 기자】 중소기업 재직 청년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는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금을 탄 사람이 10만명을 넘어섰다.
고용노동부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25일 정부세종청사 고용노동부 대회의실에서 청년내일채움공제 출범 5주년 및 만기금 수령자 10만명 배출 기념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과 청년 근로자가 부금을 공동적립하며 2년 이상 근무했을 때 정부지원금이 추가로 지급되는 사업이다.
지난해 워크넷 참여자 만족도 자체 조사에 따르면 5년간 누적 총 47만9336명의 청년, 11만1748개의 기업이 청년내일채움공제에 참여했다. 참여 청년 91.1%, 가입 기업 91.5%가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입 청년 중 10만3683명의 청년이 1인당 약 1600만원의 만기금을 수령해 약 5.3배의 자산형성 효과의 혜택을 받았다.
또 기업의 경우 청년 공제 가입자의 1, 2년 이상 근속 비율이 일반 중소기업 취업 청년보다 약 30%p 높아 청년 인재를 장기 유지하는 성과도 있었다.
한국노동연구원 김유빈 박사가 정책의 순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청년 공제가입자의 경우 미가입자 대비 동일기업 재직확률 및 퇴사 후 노동시장 잔류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기업 재직확률의 경우 청년 공제 가입 1년 후 9.7%p, 2년 후 10.7%p 높았으며, 노동시장 잔류확률의 경우 청년 공제 가입 1년 후 0.6%p 2년 후 6.8%p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김유빈 박사는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은 기업과 청년에 대한 직접지원으로 높은 고용 성과를 거둬 앞으로 청년정책에 방향성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박화진 노동부 차관은 “청년내일채움공제를 통해 중소기업은 청년인재채용 확대해 사업을 키워나가고, 청년들은 장기근속으로 경력을 개발하는 등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2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지원 인원을 기존 10만명에 더해 9월부터 2만명을 추가적으로 확대 지원할 계획이며, 필요성이 큰 노동시장 신규진입 청년과 중소기업 등에 집중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고 부연했다.
관련기사
- 언론7단체, 국회·청와대에 ‘언론중재법 개정안 철회 서명지’ 전달
- 정의당 “세종시 아스콘 업체 ‘1급 발암물질’ 즉시 점검해야”
- LG전자, 병원용 원격진료 솔루션 출시
- 파리바게뜨, 풍기 인삼 농가 돕는 ‘추석 선물세트’ 선봬
- 청소년 ‘게임 셧다운제’ 10년 만에 폐지…게임시간 ‘선택제’ 도입
- 경기도, 폐기물 다량 배출 사업장 불법행위 집중 수사… 불법처리 사전차단
- 노동부, 명절연휴 앞두고 건설·폐기물 처리업·벌목작업 등 현장점검
- 노동부, 내달 8일까지 ‘실업급여 부정수급 자진 신고 기간’ 운영
- 특성화고 도제준비과정 ‘잡마켓’ 1400여명 취업…이론·실무 동시에 배워
- 노동부, 유연근로제 등 활용한 주 52시간 준수 사례집 발간
- 장애인 청년 고용 사업주, ‘내일채움공제·고용장려금’ 전액 지원 받는다
주요기획: [여기, 사람 삽니다], [H세대], [당신은 알지 못하는 삶]
좌우명: 사람 살리는 글을 쓰겠습니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