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5802명 버스 근로자 참여…임금 인상 및 고용 안정 보장 요구
서울시, 지하철·버스 추가 확보·자치구 셔틀 운영 등 긴급 계획 수립

서울 시내버스 노조의 오는 26일 총파업 예고 피켓. [사진제공=뉴시스]
서울 시내버스 노조의 오는 26일 총파업 예고 피켓.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오는 26일부터 총파업 돌입을 예고했다. 이에 서울시는 시내버스 7000여대가 운행이 중단될 것에 대비해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이하 노조)은 25일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한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노조는 98.1%의 찬성률로 합법적인 파업권을 확보했다. 전체 재적 조합원 1만8094명 중 1만6116명이 투표에 참여했으며, 그중 찬성 1만5802표, 반대 284표, 기권 1978표, 무효 30표로 집계됐다.

파업 배경에 대해 노조는 “지난해와 올해 소비자 물가 상승률 합계가 6.3%에 달하는 상황에서 2년 연속 임금동결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며 “합리적 대안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생활임금 확보와 생존권 사수를 위해 총파업 투쟁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국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위기 상황에서 서울시의 비상수송대책에 협력해 위험을 무릅썼다”며 “또 확진자가 있는 타회사 파견 근무를 하면서 전국민적 고통분담 차원에서 임금동결을 수용하는 등 대시민 서비스에 누구보다 앞장 섰다”고 호소했다.

노조는 서울시와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이하 버스조합)이 공무원, 환경 미화원 등 공공부문에 매해 임금을 인상한 것과 달리 시내버스 노동자에게는 임금 동결을 유지해 파업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노조는 서울시와 버스조합에 △임금 8.09% 인상 △식사질 개선 △고용안정협약 체결 △무사고 포상금 시급화 △호봉 연장 및 정년 이후 촉탁직 1호봉 적용 △실·견습 기간 호봉 인정 등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 외 다른 지역 곳곳에서도 파업이 이어질 전망이다. 이날 각 지역 버스 노사의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부산·경기·경남 등은 26일, 대구에서는 27일부터 버스 파업이 시행된다.

한편 노조와 버스조합은 이날 오후 3시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2차 조정 회의를 진행한다. 26일 0시까지 양측이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노조는 오전 4시 첫차부터 버스 운행을 거부할 계획이다.

마을버스 제외한 서울시버스노조에 가입된 시내버스는 61개 사 총 7235대로, 서울시 전체 시내버스의 98%에 해당한다.

만약 협상이 결렬돼 노조가 파업에 돌입할 시, 서울시는 지하철과 택시의 운행 대수를 늘리고 자치구에서 셔틀버스를 운행하는 등 비상수송계획 수립을 통해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