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아파트의 모습. 위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사진제공=뉴시스]
서울시내 아파트의 모습. 위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서울 시민들이 대규모 신규주택을 찾아 수도권으로 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로 전입하는 주된 요인은 직장과 교육 등으로 조사됐다.

서울연구원(이하 연구원)은 13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수도권 내 서울 인구 전출입 패턴과 요인’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통계청의 ‘2020년 국내인구이동통계 원시자료’와 자체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20년 한 해 동안 서울에서 157만8127명이 전입, 164만2977명이 전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서울시 인구 총 6만4850명이 줄었다.

서울 시민의 주요 전출지는 하남, 화성, 김포, 시흥, 남양주 등으로 집계됐다. 해당 지역들은 대표적인 대규모 도시개발이 이뤄지는 곳으로, 연구원은 서울 인구 전출을 유발한 주요 원인으로 △양질의 주택수요와 맞물린 수도권 주택지 개발 △신도시 건설 등으로 분석했다.

실제 서울에서 전출 후 자가를 마련했다는 이주 경험자 비율이 30.1%에서 46.2%로 올랐고, 아파트 거주 비율도 42.6%에서 66.8%로 증가했다. 이에 더해 서울에서 수도권으로 이주한 후, 주택규모가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율도 62.46%로 나타났다.

[사진제공=서울연구원]
[사진제공=서울연구원]

하지만 서울에서 전출, 경기·인천으로 이주한 경우에도 시민 46.5%는 여전히 서울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경인 거주자 중 주 1회 이상 서울 방문하는 시민이 50.4%, 월 1회 이상 방문하는 비율이 81.3%로 조사됐다. 방문 목적은 직장·학교 생활이 36%로 1위를 차지했다.

반대로 직장 등의 사유로 서울 전입을 택하기도 했다. 지난 2020년 기준 경기도에서 서울로 유입된 인구는 7만5886명으로, 교육 및 직장 사유로 전입을 택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에서만 순 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 전입한 시민들은 증가된 편익으로 주거보다는 평균 통근·통학 시간이 72분에서 42분으로 감소하는 등 교통 여권을 주로 꼽았다. 

박형수 서울연구원장은 “서울의 인구 감소는 견고한 추세로 상당 기간 지속되고 있으며 3기 신도시 개발과 국토 균형발전 정책 등을 감안할 때 서울의 인구 감소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신규주택 공급 부족으로 서울을 떠난 사람들 중 많은 수가 서울 생활권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며 “또한 교육과 직장을 위한 서울 순전입은 여전히 많은 상황이기 때문에 인구변화의 방향과 속도를 관리하고 대응하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