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한 중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뉴시스]&nbsp;<br>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한 중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교육부가 국내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유행 기간 동안 감소한 학생들의 체력 회복을 위해 총 31억9600만원을 학교에 지원한다.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과 함께 코로나19 장기화로 저하된 학생의 체력을 강화하고, 학교체육활동을 통한 학생의 정서, 교육결손 회복을 위해 학교체육 프로그램 운영을 본격적으로 지원한다고 27일 밝혔다. 교육부는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 이를 위한 특별교부금 31억9600만원을 지급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17개 시도교육청은 학생건강체력평가(PAPS)를 진행하고 그에 따른 건강체력교실을 운영한다. 학생건강체력평가는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학생들의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근지구력, 순발력 등을 측정한 뒤 그 결과에 맞는 신체활동을 하도록 하는 의무 평가 제도다.

학생건강체력평가 결과에 따르면 저체력인 4·5등급 학생 비율이 지난 2019년에는 12.2%로 집계됐으나, 코로나19 발생 이후인 지난 2020년에는 17.61%, 지난해에는 17.7%를 기록하며 증가세를 보였다. 이에 교육부는 여름 방학 전까지 학생건강체력평가를 진행하고 학생, 학교, 지역별 여건에 맞는 건강체력교실 활동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역별 건강체력교실 운영 형태를 살펴보면, 서울·경기 교육청은 식단, 비만 관리와 같은 생활 습관 등 영양·보건 교육과 함께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체력 증진 프로그램을 전개하고, 체육·영양·보건 교사가 참여하는 교육청 단위 자문단도 구성한다. 

경남교육청은 국민체육진흥공단의 대국민 무상 스포츠 복지서비스인 ‘국민체력100체력 인증센터’와 연계해 실시간 온라인 건강체력교실을 진행한다. 세종·경북교육청은 애플리케이션을 함께 제작한 뒤, 체육수업과 가정 활동을 연계해 학생들의 신체활동을 관리한다.

부산, 충북, 충남, 경북교육청은 건강체력반, 웨이트 트레이닝반, 스피닝 교실, 필라테스 등 학생의 체력과 흥미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인천과 전북교육청은 가상체험(VR) 체육실을 활용한 체육수업을, 울산 교육청은 부모 참여 프로그램, 제주교육청은 방과 후 자전거 타기 등을 운영한다. 

교육부 장상윤 차관은 “학교체육은 건강한 삶, 즐거운 삶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며 “올 하반기에는 건강체력교실 등 프로그램에 이어 전국 학교스포츠클럽 축전을 개최해 신체활동 활성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