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 건물 등록문화재 가치 높여
‘옛 모습 찾기’ 일환...3면에 설치

서울시의회 복원 시계탑 야간 전경. [사진제공=서울시의회]
서울시의회 복원 시계탑 야간 전경. [사진제공=서울시의회]

【투데이신문 윤철순 기자】 일제강점기 때인 1935년 만들어져 40년간 격동의 역사를 함께해오다 1975년경 사라진 높이 46.6m의 서울시의회 시계탑이 약 50년만에 복원됐다.

이로써 지난 2002년 5월 국가등록문화재 제11호로 등록된 의회 본관동(구 국회의사당)의 문화재 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됐다.

서울시의회(김현기 의장)는 문화유산 시민단체인 <사단법인 한국의 재발견>과 함께 ‘서울의 옛 모습찾기’ 일환으로 서울시의회 본관 시계탑을 복원, 제막식을 갖고 시민에게 공개한다고 밝혔다.

제막식은 오는 28일 오전 11시 시의회 본관 앞에서 열릴 예정이다. 행사엔 김 의장과 남창진·우형찬 부의장 및 상임위원장단, 오세훈 서울시장, 정표채 (사)한국의 재발견 대표, 정상혁 신한은행장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시계탑은 의회 본관동에 9층 높이로 솟은 건물 3면에 총 3개가 설치된다. 원형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야간에도 잘 보일 수 있도록 자체 발광 기능을 추가한 게 특징이다.

김현기 의장은 “서울시의회 본관은 격동의 근대사를 인정받은 국가등록문화재임에도 그동안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구현하는데 다소 부족함이 있었다”며 “지난해 말부터 의회 내에서 역사적 활용 가치를 찾자는 의견이 있었고, 시계 설치에 대한 문화유산 시민단체의 지정기탁 제안이 있어 속도를 내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영국 런던 국회의사당의 빅벤, 독일 뮌헨의 시청사 시계탑 등 세계 유명 도시마다 그곳을 대표하는 시계탑이 있는 것처럼 서울시의회 시계탑 또한 서울을 대표하는 시계탑으로 시민들과 관광객들이 찾아오는 관광명소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1940년경 서울시의회 시계탑 사진. [사진제공=서울시의회]
1940년경 서울시의회 시계탑 사진. [사진제공=서울시의회]

서울시의회 본관동은 일제강점기인 1935년 12월 ‘부민관’이라는 공연시설로 처음 지어졌다. 당시 보기 드문 콘크리트 구조물로 지어진 건축물로 우리나라 근대화 과정의 다양한 역사적 이야기를 간직한 근대문화재다.

‘부민관’에선 다양한 공연이 펼쳐졌고, 광복 이후엔 미 군정청과 국립극장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1954년부터 1975년까지 국회의사당이 여의도로 옮겨지기 전까지 대한민국 국회로 사용됐다.

이후 1976년부터 1991년 지방자치제 시행 전까지 세종문화회관 별관으로 활용되다 1991년 이후 현재까지 서울시의회 본관으로 사용 중이다. 시계탑이 언제, 어떤 이유로 철거됐는지는 명확히 확인되지 않고 있으나 남아있는 사진 등을 통해 1975년경 철거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