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심 20%·30% 반영안 의견 팽팽
지도체제 변경도...‘책임회피’ 비판
황우여·당권주자들, ‘긴급 간담회’
【투데이신문 윤철순 기자】 국민의힘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규정(룰)을 손보려던 당헌·당규 개정특별위원회(위원장, 여상규)가 12일 자체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최종 결정을 비상대책위원회로 넘겼다.
특위는 기존 ‘당원투표 100%’에서 민심을 30% 반영하는 안을 유력하게 검토했지만, 20%와 30%를 놓고 위원들 간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결국 비대위로 결정 권한을 넘기게 된 것이다.
이날 활동을 마치는 특위는 논란이 됐던 지도체제와 대권·당권 분리, 결선 투표제와 역선택 방지 조항 등에 대한 결론 역시 내지 않았다. 현행대로 넘기겠다는 방침인 셈이다.
여상규 위원장은 이날 오전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민심 반영 여론조사 결과 (반영 비율을) 놓고 많은 논의가 있었다”며 “8(당심):2(민심)와 7:3 두 가지 안을 반영한 당헌·당규 개정 초안을 (비대위에) 넘기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여 위원장을 포함한 7명의 특위 위원들 중 3명이 30% 안에, 나머지 3명이 20% 안에 찬성하고, 나머지 1명은 중립 의사를 밝혔다. 여 위원장은 “7명이 서로 얼굴을 붉힐 정도로 치열한 격론 끝에 결론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여 위원장은 두 가지 안을 비대위에 넘기는 건 책임을 미루는 것이라는 지적에 “그렇게 볼 수 있다”고 인정했다. 그는 “20%나 30%는 민심을 반영하기로 한 이상 큰 차이는 없다고 본다”며 “당비를 내는 책임당원들의 역할도 상당히 중요하게 다뤘기 때문에 민심과 당심을 균형 있게 당헌·당규 개정에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지도체제 변경 여부에 대해서는 “전당대회를 전후로 짧은 기간 동안 활동하는 특위에서 이를 결정하기보다, 새 지도부가 시간을 갖고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게 다수 의견”이라며 “결론을 내지 않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앞서 특위는 현행 단일지도체제와 부대표를 두는 복수지도체제, 3인 이상 집단지도체제 3가지 안을 놓고 논의했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의힘 중진 의원들은 이날 국회에서 황우여 비대위원장과 관련 논의를 위해 예정에 없던 간담회를 열었다. 비공개로 진행된 회의엔 나경원·안철수 의원 등 유력 당권주자로 분류되는 중진 대부분이 참여했다.
황 위원장은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중요한 결정을 할 때에는 항상 중진들의 말을 최종적으로 듣는다”며 ‘내일 결론이 나는 것이냐’는 질문엔 “그렇다. 늦으면 전당대회에 지장이 생긴다. 서둘러서 하는 중”이라고 답했다.
안 의원은 “민심의 비율을 높이는 게 우리 당이 가야될 길”이라며 “민주당이 현재 25% 정도의 민심을 반영하고 있는데, 이보다 낮은 비율을 반영하는 것으로 우리 당의 반성이라든지 변화의 의지를 보여주기에는 부족하다”고 말했다.
지도체제와 관련해선 “집단지도체제를 선호했던 편이다. 단일지도체제로 해서 여러 번의 실패 사례가 있었지 않나”며 “한분이 힘이 벅찰 때 다른 분들이 힘을 보태는 게 오히려 건강한 당정관계를 만드는데 힘이 될 수 있지 않겠나”고 했다.
나 의원은 간담회 전 기자들과 만나 “룰이라는 것이 어떤 것이 맞느냐는 여러 가지 전당대회 상황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맞다”며 지도체제에 대해선 “2인지도체제는 비정상적인 체제였기 때문에 단일이나 집단으로 하는 것이 맞고, 지금은 워낙 비상 상황이기 때문에 단일지도체제가 맞다”고 답했다.
